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등교거부경향성의 관계에서 사회불안과 자기결정동기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이용수 593

영문명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nxiety and self determining motivation in relations between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tendency of school refusal
발행기관
한국통합치료학회
저자명
정진희(Jung Jin hee) 홍혜영(Hong Hye young)
간행물 정보
『통합치료연구』제6권 제1호, 107~133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8.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청소년기는 스스로 무언가를 선택하고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과 해결방법을 사용하는 경험을 통하여 자율적 동기를 형성하기도 하지만, 다른 시기에 비해 불안정한 시기일 뿐 아니라 인지적ㆍ정서적으로 미성숙하기 때문에 관계 속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학업, 수업태도, 학교적응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기도하며 더 나아가 정신건강상에 많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하여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사회불안, 자기결정동기가 등교거부경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소재한 중학교 1,2,3학년 733명을 연구대상으로 표집 하여 등교거부 경향성에 대한 인과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등교거부경향성이 감소하였고 사회불안수준은 낮아졌으며 자기결정동기는 높아졌다. 또한, 청소년이 부모양육태도가 부정적일수록 등교거부경향성이 증가하였고 사회불안수준은 높아졌다.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등교거부경향성의 관계에서는 사회불안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기결정동기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우리나라의 특수한 교육환경이 청소년들로 하여금 자율성보다는 틀에 짜인 대로 가야하는 환경을 만든 결과라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들의 등교거부경향성을 파악하는데 있어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사회불안이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시사 하였고, 자기결정동기는 부분적으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In adolescence, one can develop autonomous motivation through experiences of using various skills and solutions in order to select or resolve something by himself. But this period is not only unstable compared to others but also immature both cognitively and emotionally. Therefore, when a problem occurs in a relationship, various problems may occur in learning, classroom behavior, and school adjustment. Moreover, many problems relating to mental health may occu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young people, social anxiety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ffect their tendency of school refusal. To achieve that, this study chose 733 students in the 1st, 2nd, and 3rd years of a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as study subjects and examined the causal structure model for their tendency of school refusal. The study result revealed that the more positive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the students was, the less their tendency of school refusal was; the lower their social anxiety level was; and the more they ha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lso, it was found that the more negative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perceived the students was, the more their tendency of school refusal was, and the higher their social anxiety level wa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the students and their tendency of school refusal, social anxiety produc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ut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didn't. It indicates that the special educational environment in Korea makes students follow routine conditions, rather than make self-determination. Nevertheless, given the study result,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young people and their social anxiety strongly influenced their tendency of school refusal, and their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was partially related to their tendency of school refusal. Based on the study result, the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진희(Jung Jin hee),홍혜영(Hong Hye young). (2014).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등교거부경향성의 관계에서 사회불안과 자기결정동기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통합치료연구, 6 (1), 107-133

MLA

정진희(Jung Jin hee),홍혜영(Hong Hye young).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등교거부경향성의 관계에서 사회불안과 자기결정동기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통합치료연구, 6.1(2014): 107-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