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박지원 <삼종형수록대부금성위겸오위도총부도총관증시충희공묘지명(三從兄綏祿大夫錦城尉兼五衛都摠府都摠管贈諡忠僖公墓誌銘)>의 구조와 서술전략

이용수 170

영문명
Narrative trategy and Structure for of Ji-won Park-Comparison with of King Jeongjo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정순희(Sun hee Jeong)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83輯, 147~17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박지원은 정조의 명에 따라 <삼종형수록대부금성위겸오위도총부도총관증시충희공묘지명(三從兄綏祿大夫錦城尉兼五衛都摠府都摠管贈諡忠僖公墓誌銘)>을 쓴다. 그 묘지명은 정조의 <금성위박명원신도비명병서(錦城尉朴明源神道碑銘幷序)>와 비지류의 구성 요소, 구성의 전개 과정, 어휘에서 상당히 비슷하다. 두 작품은 주제상으로도 서로 긴밀하게 연결된다. <묘지명>에서는 박명원이 어떻게 '충희(忠僖)'로운 삶을 살았는지를 보여주고, <신도비명>에서는 박명원이 정조에게 어떤 '은인(恩人)'인지를 보여준다. 이때 '충희'와 '은인(恩人)'은 각각 신하와 임금의 입장에서 박명원을 규정한 말일 뿐, 박명원을 중심으로 보면 같은 말이다. <묘지명>에서 박명원은 할아버지(영조(英祖))로 인해 아버지(사도세자)를 잃은 정조의 '슬픔'을 깊이 슬퍼하고, 사도세자의 묘 이장을 실현시킴으로써 정조의 '슬픔'과 실천적으로 연대한다. 그 '슬픔'과 연대의 과정이 바로 '충희'와 '은인'으로 명명된 박명원의 삶이라는 말이다. 박지원은 <묘지명>을 통해 박명원과 정조 사이의 이해와 연대를 보여주며, 동시에 <묘지명>과 박명원을 사이에 두고 박지원 자신과 정조 간의 이해와 연대도 함께 보여준다. 박지원은 또한 <묘지명>과 박명원을 사이에 두고 정조와 대립하기도 한다. <신도비명>에서 정조는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박명원의 저작이라고 밝힌다. 이것은 '문체반정(文體反正)'을 염두에 둔 정조의 도발이다. 이에 대해 박지원은 박명원의 <묘지명>에서 자신의 8촌형 박명원에게 글쓰는 재주는 없었노라고 밝히며 정조와 대립한다. 박명원은 박지원과 정조에게 각각 다르게, 결정적인 영향을 준 사람이다. 박지원과 정조는'문체반정'과 관련된 대표적 신하와 임금으로서, 자의식 강한 '작가(作家)'로서, 박명원의 행적을 담는 비지류 산문을 통해 연대하고 대립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Ji-won Park inscribes Myojimyeong for Myeong-won Park, which iSamjonghyeongSurokdaebuGeumseongwiGyeomohwidochonggwanJeungsichungheegongMyojimyeong>. It is similar to of King Jeongjo as well as composition, development process and word of Bijiryu. Two works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the topic. Myeong-won Park shows us how to live a faithful and happy life in Myojimyeong, and gratitude for King Jeongjo as a savior. Specifically, 'ChungHee' and 'savior' are words used to define Park Myeong-won from vassal and king, but they are the same words based on Myeong-won Park. In Myojimyeong, Myeong-wonPark deeply grieved for King Jeongjo who lost his father(Prince Sado), and practically band together with King Jeongjo's sadness by moving the grave of Prince Sado. Solidarity with the sadness is Park Myeong-won's life designated as 'ChungHee' and 'savior'. Ji-won Park shows understanding and solidarity between Myeong-won Park and King Jeongjo as well as between he and King Jeongjo. Furthermore, Park Ji-won sometimes conflicts with King Jeongjo between Myojimyeong and Myeong-won Park. In Shindobimyeong, King Jeongjo determines that 『YeolhaIlgi』 is Myeong-won Park's writing. This is a provocation of King Jeongjo based on Munchebanjeong. Ji-won Park is opposed to King Jeongjo on this because he determines that Myeong-won Park, a third cousin, does not have a talent in writing in Myojimyeong. Myeong-won Park is a person who influence differently to Ji-won Park and King Jeongjo. Ji-won Park and King Jeongjo are a vassal represent and king related with Munchebanjeong and self-conscious writers. In addition, they band together and conflict through Bijiryu prose which includes track of Myeong-won Park.

목차

국문초록
1. 서언
2. '슬픔'에 대한 연대와 위로-'충희(忠僖)'
3. '글쓰기'를 통한 대립과 긴장
4.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순희(Sun hee Jeong). (2015).박지원 <삼종형수록대부금성위겸오위도총부도총관증시충희공묘지명(三從兄綏祿大夫錦城尉兼五衛都摠府都摠管贈諡忠僖公墓誌銘)>의 구조와 서술전략. 어문연구, 83 , 147-175

MLA

정순희(Sun hee Jeong). "박지원 <삼종형수록대부금성위겸오위도총부도총관증시충희공묘지명(三從兄綏祿大夫錦城尉兼五衛都摠府都摠管贈諡忠僖公墓誌銘)>의 구조와 서술전략." 어문연구, 83.(2015): 147-1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