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강수량 관측망의 지역별 정량적 취약성 분석

이용수 39

영문명
Quantitative Evaluation for Regional Vulnerability of Precipitation Networks
발행기관
한국방재학회
저자명
황석환 함대헌 Hwang, Seok Hwan Ham, Dae Heon
간행물 정보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3권5호, 169~18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0.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관측망을 대상으로 지역별 정량적 관측망 취약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기상청 관측망 만을 이용하여 생산한 격자 자료 GRD(K)와 기상청과 국토교통부 관측망을 모두 사용하여 생산한 격자자료 GRD(A)의 강수량 차이를 비교하여 보았다. 격자자료 산정은 다중이차내삽법(Multi-quadric interpolation method; MQI)을 사용하였다. 도식적 분석으로 관측밀도와 정량적 분석으로 유역평균 강수량을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상대편차(GRD(A)의 중권역별 유역평균 강수량 대비 GRD(K)의 중권역별 유역평균 강수량 비)가 큰 지역들은 대략 동쪽의 주왕산에서 가야산, 덕유산, 내장산을 거쳐 서쪽의 월출산에 이르는 축을 기준으로 남쪽에 위치하고 있었고, 중심부의 덕유산에서 지리산에 이르는 남북축을 기준으로 평균적으로 GRD(K)가 GRD(A)보다 크게 산정되는 서쪽 지역과 GRD(K)가 GRD(A)보다 작게 산정되는 동쪽 지역으로 구분되었다. 즉, 소백산맥과 노령산맥 주변 및 이남지역이 GRD(K)와 GRD(A)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나 기상청 관측망 만을 이용할 경우 취약지역으로 평가되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quantitative vulnerability of spatial estimation of precipitation for precipitation observation network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We compared the amount of precipitation of GRD(K) which were gridded data only using KMA`s observation network and GRD(A) which were gridded data using both KMA and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LIT)`s observation network. we used a multi-quadric interpolation method(MQI) to make a gridded data. We compared the observation densities as a schematic analysis and areal precipitation as a quantitative analysis. As a result, regions where the relative deviations (GRD(K) compared to GRD(A)) are large were located at south of the axis which lines across from Mt. Juwang, Gaya, Deokyu and Mt. Naejang at east to Mt. Wolchool at west. In addition, based on north and south axis which lines across Mt. Deokyu at mid region of South Korea to Mt. Jiri, areas were separated into west regions where GRD(K) were estimated to be bigger than GRD(A) and east regions where GRD(K) were estimated to be smaller than GRD(A). In other words, GDR(K) and GRD(A) showed the biggest gap in regions near or southern the Sobaek mountain range and the Noryung mountain range. Thus, these areas were evaluated as the most vulnerable in case of using KMA`s observation network onl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석환,함대헌,Hwang, Seok Hwan,Ham, Dae Heon,. (2013).강수량 관측망의 지역별 정량적 취약성 분석.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3 (5), 169-184

MLA

황석환,함대헌,Hwang, Seok Hwan,Ham, Dae Heon,. "강수량 관측망의 지역별 정량적 취약성 분석."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3.5(2013): 169-1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