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출산 연기형 무자녀 기혼 여성의 관점에서 본 출산 연기의 맥락과 정책적 제언

이용수 815

영문명
Context of delayed parenthood among childless married women: implications for fertility policies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성미애(Mi ai Sung) 최연실(Youn shil Choi) 이재림(Jae rim Lee)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7집 1호, 271~303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출산 연기형 무자녀 기혼 여성이 어떠한 맥락에서 출산을 연기하며 향후 출산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저출산 정책에 대한 제언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결혼 후 3년이 경과하였고 일시적으로 출산을 연기하고 있다고 보고한 무자녀 기혼 여성 5명과의 심층면접 자료를 주제 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이들이 출산을 연기하는 가장 중요한 사유는 경제적 부담이었다. 이외에도 일과 자녀양육을 병행하기 어려운 현실, 자녀를 대체하는 애완동물의 존재, 그리고 시간적으로 자유롭고 경제적으로 여유로운 부부 둘만의 생활에 대한 만족 때문에 출산을 연기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출산 연기에 대한 주위의 부정적 시선으로 인해 부담감을 느꼈다. 출산에 대한 양가부모의 압력에 대해서는 부모의 경제적 지원 여부에 따라, 부당한 참견이라고 인식하거나 죄송한 일이라고 인식하는 대조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들의 향후 출산 의향은 부모됨에 대한 개인적 태도나 가족의 여건에 따라, 부담스럽지만 출산을 하겠다는 입장과 최대한 출산을 미루겠다는 입장으로 나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저출산 정책은 다자녀가족에 대한 지원에만 초점을 맞추기보다 출산을 계획하고 있는 예비부부나 무자녀 가족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확대해야 하며, 미시적으로는 양성평등적 성역할 공유에서부터 거시적으로는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자녀양육에 대한 지나친 부담에서 벗어나 자녀를 독립적인 인격체로 보는 자녀관의 확립이나 공보육 및 공교육 체계의 정상화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저출산 대응 정책에서 출산을 연기하는 집단과 관련하여 무엇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text of childless married women who decided to postpone parenthood and their perceptions of having a child in the future. We also aim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public polices in response to the low fertility rate in Korea.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childless women who had been married for over three years, who reported that they were temporarily postponing parenthood, and who were younger than 50 years old. Three major themes emerged from our thematic analysis: (a) reasons for postponing parenthood, (b) others’ negative perspectives of postponing parenthood, and (c) intentions to have a child in the future. Economic pressure was the key reason they gave for postponing parenthood. The participants thought that childbirth and childrearing would be an economic burden and that properly raising a child meant providing the child with sufficient economic resources. They also postponed parenthood because they believed it would create challenges including juggling between work and child care due to a lack of satisfactory child care support, a possible career interruption, and a lack of shared housework support from their husbands. Other important reasons were having a pet that substituted for a child or feeling comfortable with a childless life style. Other people’s negative perspectives of postponing parenthood put considerable pressure on the participants. The women felt uncomfortable with their parents’ or parents-in-law’s attitudes if they did not agree with the women’s decision to postpone parenthood. Some participants thought that their decision to delay parenthood was the couple’s own business, while others perceived that it was a choice a filial daughter or daughter-in-law should not choose. Economic support from the parents or parents-in-law contributed to these contradictory perceptions. The participants thought the overall societal perceptions of childless couples who postponed parenthood were still negative in Korea despite recent changes. The participants’ intentions to have a child varied depending upon their family circumstances and their attitudes toward parenthood. Some women planned to become a mother in the near future while others wanted to postpone parenthood as long as possible or considered remaining childless. Regardless of their intentions, all of the women perceived childbirth and childrearing as a “burden” or “assignment” as compared to their childless lives that they characterized as having sufficient free time and economic resourc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suggest that public policies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rates should be extended to include premarital couples and childless married couples rather than exclusively supporting families with multiple children. At the micro level, it would be crucial to infuse egalitarian gender roles among couples and to reform Koreans’ attitudes toward children so they can view children as independent human beings rather than putting a heavy emphasis on parental roles and investments. At the macro level, public policies need to focus on building family-friendly social environments as well as strong public child care and education in order to remove societal barriers for parenthood.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제기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정책적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미애(Mi ai Sung),최연실(Youn shil Choi),이재림(Jae rim Lee). (2015).출산 연기형 무자녀 기혼 여성의 관점에서 본 출산 연기의 맥락과 정책적 제언. 가족과 문화, 27 (1), 271-303

MLA

성미애(Mi ai Sung),최연실(Youn shil Choi),이재림(Jae rim Lee). "출산 연기형 무자녀 기혼 여성의 관점에서 본 출산 연기의 맥락과 정책적 제언." 가족과 문화, 27.1(2015): 271-3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