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법적 안정성의 의미에서 명확성의 원칙

이용수 638

영문명
Die Forderung nach Klarheit und Bestimmtheit im Sinne von Rechtssicherheit
발행기관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저자명
이부하(Lee, Boo-Ha)
간행물 정보
『세계헌법연구』世界憲法硏究 第20卷 第1號, 1~2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4.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법치국가원리로부터 근원하는 법적 안정성의 객관적 요소로서 명확성 원칙은 법 형식적 명료성과 법 내용적 예견성을 그 내용으로 한다. 법 형식적 명료성과 관련하여 법수범자인 일반인이 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명확하게 규정해야 한다. 이에는 법의 형식적ㆍ절차적 명료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법 내용적 예견성은 법수범자에게 법 적용의 예측가능성을 주어 법집행자의 자의적인 해석 및 집행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우리나라 헌법재판소는 명확성 판단의 주체로서 건전한 상식과 통상적인 법감정을 가진 일반인을 들고 있다. 이는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인물이 아닌, 허구의 가상적 존재로서 법관의 보충적 해석을 위한 꼭두각시이다. 또한 법관의 보충적인 해석으로 법문언이 명확해진다면 일반 국민이 법규정 자체로부터 예견가능성을 부여받지 못함으로써 명확성 원칙 자체의 모순이 발생한다. 법규범이 명확한지 여부의 판단에 있어서 개개의 법률이나 법조항의 성격 차이, 입법취지, 입법연혁, 법규범의 체계적 구조 등을 일반인이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라는 요청은 무리한 일이다. 헌법재판소의 결정들을 살펴보면, 헌법재판소가 명확성 원칙 위반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일관성있는 기준과 논리에 의한 결론을 내기보다는 명확성 판단에 대한 기준과 논거가 부족한 가운데 결론짓는 경우가 있다. 헌법재판소는 명확성 원칙 위반 여부에 대한 세밀한 심사기준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Die Forderung nach Rechtssicherheit wird als wesentlicher Bestandteil der materiell verstandenen Rechtsstaatlichkeit angesehen. Der Gedanke der Rechtssicherheit setzt sich aus mehreren Teilaspekten zusammen. Dies sind Rechtsbestimmtheit, also Voraussehbarkeit und Berechenbarkeit der Rechtsfolgen, Rechtsfrieden, d.h. Stabilität einer einmal eingeführten Ordnung, Vertrauensschutz und schließlich Rechtsmacht, nämlich die Durchsetzung einmal gesetzter Regeln in der sozialen Wirklichkeit. Eine Vorschrift muss in ihren Voraussetzungen und in ihrem Inhalt so formuliert sein, dass die von ihr Betroffenen die Rechtslage erkennen und ihr Verhalten danach einrichten können. Man wird Rechtsvorschriften je nach dem Kreis der von ihnen Betroffenen unterschiedlich behandeln dürfen. Es sind Normen zu publizieren und damit an die Allgemeinheit zu adressieren, weil sie potentiell jedermann betreffen können. Vorschriften, welche die Allgemeinheit in ihrem täglichen Leben betreffen, sollten in einer Weise abgefasst sein, dass die Hinzuziehung von Richter nicht notwendige Voraussetzung ist, um sich über den Inhalt der Regelungen zu informieren. In den Entscheidungen des koreanischen Verfassungsgerichts taucht als Bezugspunkt regelmäßig Personen, die den gesunden Verstand und das allgemeine Rechtsgefühl haben, auf. Dieser Betroffene ist aus der Luft gegriffen. Die Forderung nach formale und prozedurale Klarheit des Rechts wird als wesentlicher Bestandteil der Rechtssicherheit angesehen. Formvorschriften dienen nicht allein einem Schutz vor Übereilung, sondern auch der Verdeutlichung, dass nur das der Form Entsprechende rechtswirksam ist.

목차

Ⅰ. 서 론
Ⅱ. 명확성 원칙의 헌법적 요청
Ⅲ. 우리나라 헌법재판소가 판시하는
명확성 원칙의 내용
Ⅳ. 헌법재판소의 견해에 대한 비판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부하(Lee, Boo-Ha). (2014).법적 안정성의 의미에서 명확성의 원칙. 세계헌법연구, 20 (1), 1-21

MLA

이부하(Lee, Boo-Ha). "법적 안정성의 의미에서 명확성의 원칙." 세계헌법연구, 20.1(2014): 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