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구려 성의 방어체계 변천양상 연구

이용수 538

영문명
A Study of Koguryo fortress defense system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양시은(Yang Si Eun)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84호, 65~8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5.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고구려 성의 분포를 바탕으로 방어체계의 변천 양상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수도의 위치, 고구려 정치사 연구 성과와 영토의 확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고구려 성의 축조 및 운용의 분기를 크게 3기로 구분하였다. Ⅰ기는 고구려의 국가성립기부터 3세기까지로, 고구려가 건국하여 桓仁과 集安일대에 성을 축조하고 활용하던 시기이다. 중앙집권화가 이루어지기 전 단계로, 평지성과 방어용 산성이라는 도성제는 아직까지 갖추어 지지 않았다. 이 시기에는 성이 수도 주변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하며, 군사방어를 위한 산정식 석축산성을 주로 축조하였다. Ⅱ기는 4세기부터 평양 천도 이전까지로, 왕권 강화와 함께 중앙집권화가 이루어진 시기이다. 고구려는 遼東과 평양 지역으로 진출하였고, 영토가 확장되자 성의 수도 증가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효율적인 지방 지배를 위한 치소성이 등장하였다. 치소성으로는 작은 규모의 산정식산성보다는 상대적으로 접근이 쉬운 포곡식산성이나 강안평지성 등 새로운 형태의 성을 활용하였는데, 성 내에는 행정관청인 기와 건물지가 설치되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Ⅲ기는 평양으로 천도한 이후부터 멸망까지이다. 수도가 평양으로 이동함에 따라 고구려 성 방어체계는 대대적으로 변화하였다. 6세기 후반 長安城으로 천도하면서 도성제에는 획기적인 변화가 있었지만, 수도가 같은 평양에 위치한다는 점에는 변함이 없으므로 별도의 분기를 설정하지는 않았다. 이 시기 고구려는 遼東지역부터 평양 지역까지 對중국 다중 방어체계를 갖추었다. 遼河와 遼東半島의 서쪽 해안가를 따라 1차 국경 방어선을 구축하면서, 압록강을 건너 평양으로 향하는 遼東의 모든 교통로에도 성을 축조하였는데, 주요 교통로와 요충지에는 중대형의 하곡평지형 포곡식산성을, 이어지는 간선 교통로에는 중소형의 산상형 포곡식산성(산복식산성)과 보루를 포함한 산정식산성을 다수 축조하였다. 당시 성을 이용한 고구려의 다중 방어체계는 隋ㆍ唐과의 전투에서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이는 문헌기록을 통해서도 쉽게 입증된다. 한편, 對백제ㆍ신라 역시 다중 방어체계를 갖추었으나 집중도나 규모면에서 對중국 방어체계와 차이가 있으며, 吉林을 비롯한 북쪽 지역은 이와는 달리 거점성과 소수의 위성 방어체계만을 갖추고 있어 상대국에 따라 고구려가 각기 다른 방어체계를 운용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is to clarify how the spatial distribution of Koguryo fortresses and the defense systems based upon the fortresses changed over time for military and administrative purposes, Koguryo fortresses can be divided into three temporal phases. Firstly, they can be divided into the Hengren and Jian periods as to the location and duration of the capital. These phases can be further divided into the phases before and after the centralization of power occurr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of the political history of Koguryo. The first phase refers to the period from when Koguryo emerged as a state to the 3rd century. During this phase, Koguryo fortresses were built and used in and around Hengren and Jian. In this phase fortresses were clustered around the capital, most of which were mountain fortresses encircling a mountain summit used for military defensive purposes. And the capital fortress system based on the combination of an fortress on the plain ground and a mountain fortress was unlikely to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first phase. The second phase refers to the period from the 4th century to when Koguryo moved its capital to Pyongyang. In this phase Koguryo expanded its territory and attempted to extend its power to the Liaodong peninsula and Pyongyang. In this phase, Koguryo fortresses increased in number with the expansion of the Koguryo territory, and administrative fortresses were built to effectively govern local areas under the centralized governing system. Administrative fortresses, or those having administrative offices in them, took the form of a mountain fortress encircling a valley or a fortress built on the plain ground along a riverside for easy access. The third phase refers to the period from when Koguryo moved its capital to Pyongyang to when it fell. With the relocation of the capital,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Koguryo fortresses and its defense systems came to change fundamentally. There is a great regional difference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Koguryo fortresses. They are clustered around the Liaodong peninsula in the northwestern area. This shows that defense against China was considered most important in Koguryo. Koguryo established primary border defense systems along the Liao River and the western coast of the Liaodong peninsula. In doing so, they constructed fortresses along traffic routes from the Amnok River to Pyongyang in the Liaodong peninsula. Koguryo operated multiple defense systems. Compared with the northwestern area of Koguryo where fortresses were clustered in large numbers for the defense against China, fortresses are sparsely distributed in other regions.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분기 설정의 기준
Ⅲ. 고구려 성 방어체계의 변천 양상 검토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시은(Yang Si Eun). (2014).고구려 성의 방어체계 변천양상 연구. 한국상고사학보, (84), 65-86

MLA

양시은(Yang Si Eun). "고구려 성의 방어체계 변천양상 연구." 한국상고사학보, .84(2014): 65-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