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하도 철기문화의 성립과 전개과정

이용수 582

영문명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Iron Culture in Yanxiadu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김상민(Kim Sang min)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84호, 5~3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5.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동북아시아 철기문화의 성립과 전개과정은 중국 전국시대 연나라 철기문화의 유입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연나라 철기문화에 대한 고고학적 검토는 이루어지지 않은 채 문헌기록에 의존한 논의가 다수를 이루고 있다. 본고는 연나라의 중심지 중의 하나인 연하도의 철기자료를 고고학적 방법으로 검토하여 그 변천단계와 전개과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고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나라 철기문화의 변천단계는 3기로 구분되는데, 전국시대 중기인 기원전 4세기대부터 본격적으로 성립되기 시작하여 후기인 기원전 3세기대에 최성기에 이른다. 최초의 철기류는 분묘의 부장품으로 출토되며, 철제 농공구(철부류)는 청동제 무기류와 함께 부장된다. 특히 주조품의 출토가 두드러져 거의 대부분 기종이 주조품이다. 따라서 연나라 철기문화의 개시는 주조품이 중심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철기는 대규모 분묘에서 출토되는 점과 생산도구가 부장되는 점을 통해 그 생산과 소유가 특정 계층에 한정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전국시대 후기에 해당하는 기원전 3세기대가 되면, 분묘에 부장되는 무기류의 철기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취락 내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철제 농공구와 관련 유구가 확인되는 경향을 보인다. 취락 내 단야구 세트가 출토되는 현상은 주조품 뿐만 아니라 단조품의 생산도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려준다. 이 시기는 철기의 생산 기술이 발전하고 도구로서 철기의 보편화가 이루어지는 연나라 철기문화의 성행기인 것이다. 이후 연나라의 멸망과 함께 기존의 철기문화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주조품은 감소하고 단조품이 다수이며, 분묘 내 철기의 부장은 한두 점으로 한정된다. 그 원인은 한나라의 성립 이후 철기생산의 제한과 철관의 설치와 같은 제도적인 규제가 강해지는 것과 관련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처럼 연하도를 중심으로 연나라 철기문화를 살펴본 결과, 주조철부를 대상으로 한 철기의 변천양상에서 가장 중요한 획기는 기원전 3세기대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원전 3세기대가 연나라의 영역확장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시작한 시기였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 시기는 동북아시아 제 지역에 철기가 유입되는 시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Iron Culture in Northeast Asia is understood as the introduction of the iron culture of the Yan State during Warring States Period. However, only the time of its introduction has been discussed only with literature without any archeological review of the iron culture of the Yan State. This study has archeologically analyzed the data of Yanxiadu (the Lower Capital of the Yan State) which was one of the centers of the Yan State to confirm the changing stages and developing processes. First, the iron culture of the Yan State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periods. It started to develop from the 4thcentury BC which was the middle of Warring States Period to reach its hey day late in the period of the 3rdcentury BC. The first iron artifacts have been found as burial accessories from tomb salong with some bronze weapons, most of which are iron agricultural and industrial tools(ex:iron ax). In particular, a lot of cast iron artifacts are excavated. Like this, the start of iron culture in the Yan State was mostly with cast iron artifacts. In addition, the aspects of excavation from big-sized tomb sand burial of iron production tools suggest that the production an downer ship of iron artifacts must have been limited to special classes. In the 3ed century BC which was the latter part of Warring States Period, the weapons started to be made of iron for the purpose of tomb burial. Also inside their settlement areas a variety of iron agricultural and industrial tools have been found. The excavation of sets of smith's tools enables us to assume that there was the production of cast iron items as well as forged one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period. The production of both took place in the heyday of iron culture in the Yan State when the production of iron had developed in full scale to be generalized. Later, with the fall of the state, any continuous growth of the existing iron culture was not possible. The cast iron items decreased while forged ones became overwhelmingly in the majority. And only one or two iron artifacts were buried in tombs, which means that the state's iron culture around Yanxiadu didn't keep growing, whose reason must have been that the systematic regulations such as limitation of iron-artifact production and establishment of Iron Offices got reinforced after the foundation of Han Kingdom. The above analysis suggests that the most significant epoch in the changing aspects of iron culture was the 3rdcentury BC. If this period is considered to be the time when the territory expansion of the Yan State began in full scale, it must be closely related to the time for iron artifacts to be introduced into the entire area of North east Asia.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연하도 내 철기의 출토현황과 분류
Ⅲ. 연하도 철기문화의 변천단계
Ⅳ. 연하도 철기문화의 전개과정과 그 의미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상민(Kim Sang min). (2014).연하도 철기문화의 성립과 전개과정. 한국상고사학보, (84), 5-35

MLA

김상민(Kim Sang min). "연하도 철기문화의 성립과 전개과정." 한국상고사학보, .84(2014): 5-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