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산강유역 백제~고려시대 석실묘 연구

이용수 443

영문명
A Study on Stone Chamber Tombs around Yeongsan River from Baekje to Korea Dynasty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신흥남(Shin Heung nam)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83호, 91~11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2.25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영산강유역에서 백제 사비기부터 고려시대까지 축조되었던 석실묘의 전개과정을 밝혀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시기 석실묘들을 형식분류하고 출토유물을 분석하여 그 변화 과정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백제 사비기 이후의 횡혈식 석실묘는 횡혈ⅠㆍⅡa식 → 횡혈ⅡbㆍⅢㆍⅣ식 → 횡혈ⅤaㆍⅤb식 → 횡혈ⅡcㆍⅤc식 순으로 변천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백제 사비기의 횡혈식 석실묘는 6세기 중엽으로 편년되는 횡혈Ⅰ식과 횡혈Ⅱa식이 영산강 중류지역인 나주 복암리 일대에 가장 먼저 등장하였다. 그리고 횡혈Ⅱc식과 횡혈Ⅴc식 석실묘는 통일신라~고려시대에 유행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횡구식 석실묘 역시 6세기 중엽경에 나주 복암리 일대에 횡구Ⅰ식이 가장 먼저 등장하였으며, 통일신라시대에는 주로 횡구Ⅱ식이 축조되었고, 고려시대에는 횡구Ⅲ식이 유행하였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영산강유역의 6세기 중엽 이후에 해당하는 석실묘들의 분포를 보면, 백제 사비기에는 나주를 중심으로 하는 영산강 중류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지만 통일신라시대에는 광주를 중심으로 하는 영산강 상류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영산강유역의 석실묘 분포 양상의 차이는 통일신라시대에 들어서 광주에 9주 5소경가운데 하나인 무진주가 설치된 것과 관련될 것이다. 즉, 영산강 중류의 나주 복암리 일대에 있었던 행정 중심지가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러 영산강 상류의 광주지역으로 이동한 것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stone-chambered tombs in the valley of Yeongsan River from the Sabi Period of Baekje to Goryeo. For that purpose, the study categorized the stone-chambered tombs in the valley of Yeongsan River by the forms and recorded them chronologically with the artifacts excavated in them. As a result, the stone-chambered tombs with a tunnel entrance since the Sabi Period of Baekje changed in the order of ⅠㆍⅡa→ⅡbㆍⅢㆍⅣ→ⅤaㆍⅤb→ⅡcㆍⅤc. The first stone-chambered tombs with a tunnel entrance from the Sabi Period of Baekje were in Style I and IIa in Bokam-ri, Naju in the midstream of Yeongsan River in the middle 6th century. The stone-chambered toms in Style IIC and Vc seem to have been popular from Unified Shilla to Korea Dynasty. In the middle 6th century, the first stone-chambered tombs with a horizontal entrance also appeared in Bokam-ri, Naju in Style I, which was replaced with popular Style II with a horizontal entrance during Unified Shilla and popular Style III with a horizontal entrance chamber during Korea Dynasty. The distribution of stone-chambered toms in the valley of Yeongsan River since the middle 6th century also changed with time; they were mainly distributed in the midstream of Yeongsan River around Naju during the Sabi Period of Baekje and then in the upper stream of the river around Gwangju during Unified Shilla. Such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stone-chambered tombs in the valley of Yeongsan River seem to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installation of Mujinju, one of the nine Jus and five Sogyeongs in Gwangju during Unified Shilla. That is, the administrative center moved from the midstream of the river around Naju to the upper stream of the river around Gwangju during Unified Shilla.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영산강유역 백제 사비기 이후 석실묘의 형식분류와 편년
Ⅲ. 영산강유역 백제 사비기 이후 석실묘의 형식변천과 전개과정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흥남(Shin Heung nam). (2014).영산강유역 백제~고려시대 석실묘 연구. 한국상고사학보, (83), 91-118

MLA

신흥남(Shin Heung nam). "영산강유역 백제~고려시대 석실묘 연구." 한국상고사학보, .83(2014): 91-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