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려시대 氈城과 摩利山塹城의 제천단

이용수 280

영문명
The Sacrificial Altar of Jeonseong(氈城) and Mt. Mari's Chamseong(塹城) in Koryo Dynasty
발행기관
한국사학사학회
저자명
김성환(Kim Sung Hwan)
간행물 정보
『한국사학사학보』제30권, 45~79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성과 참성의 초례는 산 정상의 野壇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시기적으로 전성의 제천단은 고려 전ㆍ중기, 참성의 제천단은 고려 후기에 국가제사에 편재되어 운영되었다는 점에서 다르다. 선종 5년(1088) 鹽州의 동쪽에 있던 氈城 제천단에서의 초례는 성종 1년(982) 최승로의 건의로 중단된 조치에 대한 修復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고종 19년(1232) 강도로 천도할 때까지 이후 지속되었다. 『대동지지』에서 현종 20년(1029) 국왕이 염주에 행차하였다는 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데, 전성 제천단에서 친초의 가능성을 염두에 둘 수 있다. 전성의 제천단은 연안의 天拜山으로 비정된다. 『대동지지』에서는 연안의 옛날 제천단을 南神堂이라고 부르고 있었음을 전하고 있다. 『연안부지』에서는 제천단의 모습이 원형이고, 흙으로 쌓았음을 전하고, 이곳에 오르면 사방이 트여있다고 서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위치를 마리산 참성단과 비교할 수 있다. 마리산 참성단이 석축인 것에 비해 전성의 제천단은 토축하였다는 점이 다르다. 또 『연안부지』에서는 천배산에 大王堂과 남신당의 사당이 존재했음도 전한다. 대왕당은 전성의 제천단 자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남신당은 제천의 의례를 준비하고 향사ㆍ헌관 등이 재숙하던 공간으로 추측된다. 이런 점에서 대왕당은 마리산 참성단과, 남신당은 齋宮과 비교될 수 있다. 하지만 그 기능은 점차 상실되어 남신당은 이후 불교의 암자로서 존재하여 南神堂菴으로 불리다가 이후 폐치된 것으로 보인다. 역시 마리산 참성단의 재궁이 天齋宮ㆍ天齋菴으로 불렸던 것과 비교할 수 있다. 선종 5년(1088) 3월의 초례에 정2품과 정3품의 관리가 파견되고 있음은 고려 후기 마리산참성에서의 향사가 3품직이었던 대언이었던 것과 비교된다. 또 마리산참성의 예와 비교할 때, 摩尼山塹城祭田과 같이 제수 마련을 위한 별도의 氈城祭田도 운영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전성과 참성의 제천단을 비교할 때, 주목되는 것은 역사인식과 관련된 문제이다. 전성에 대해서는 '제천단'이라는 성격만 밝히고 있는데 비해 참성단의 경우는 '단군제천단'이라 하여 성격은 물론 역사성까지 이해의 폭이 심화되고 있다. 이런 두 자료에서의 차이는 고려시대의 역사계승인식과 관련을 가지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마리산참성에서 국왕의 친초 배경이 "삼한을 진단으로 변화시키려는데三韓變爲震旦" 있었다. 이것은 삼한에 머물러 있던 고려의 역사인식이 고조선[또는 전조선]으로의 변전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불과 20여년 후 국조를 단군으로 설정하여 이후 국가들을 일정한 체계 속에서 정리한 『삼국유사』와 『제왕운기』가 편찬되었다는 사실은 상당한 의미로 받아들여야 한다.

영문 초록

The sacrifice rituals of Jeonseong(氈城) and Chamseong(塹城) were special in that they were held at an outdoor altar at the peak of a mountain. The Jeonseong and Chamseong's sacrificial altars can be differentiated in that the former was used during Goryeo's early and mid periods while the latter was used during the later period for the performance of national sacrificial ceremony. The heavenly ceremony conducted at the Jeonseong altar in the eastern part of Yeomju(鹽州) in the fifth year of King Seonjong(1088) after having been suspended at the suggestion of Choi Sueng-ro in the first year of King Seongjong(982) carried the spirit of a revival. It was thus continued until aft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Gangdo(江都) in the nineteenth year of King Gojong(1232). In Korea historical geography, Daedong-giji, the king's visit to Yeomju during the twentieth year of King Hyeonjong(1029) can be confirmed, but it also brings up the possibility of his direct participation in the ceremony itself. The location of Jeonseong's sacrificial altar has been settled as being on Mount Cheonbae(天拜山) in Yeonan. Daedong-giji shows Yeonan's ancient sacrificial altar was called Shrine in the southern region, Namshindang(南神堂), and Yeonan historical geography, Yeonan-buji, records the altar as being round in shape and made of piled earth. From the point recorded in the same source that upon ascending the location of the altar one had an open view in all four direction, the location could be linked with Mount Mari's Chamseong altar. In contrast to this altar located on Mount Mari, which was of stone, Jeonseong's altar was earthen. Yeonan-buji also records the existence of Great for the shrine, Daewangdang(大王堂), and Namshindang on Mount Cheonbae, the significance being that Daewangdang referred to the sacrificial altar itself while Namshindang referred to the location of the preparation of the ceremony as well as the area where rural scholars and temporary officials associated with the ceremony would spend the night. On this point, Daewangdang is comparable with the Chamseong altar and Namshindang with the place to prepare for sacrifice, Jaegung(齋宮). Gradually, however, the functionality of the shrine deteriorated, and Namshindang subsequently became a hermitage designated the place of Namshindang(南神堂菴) before apparently falling into disuse. In the same way, Jaegung at Mount Mari's Chamseongdan can be compared with Cheonjae-gung(天齋宮)ㆍCheonjae-am(天齋菴). The dispatch of second and third level officials to the March ceremony in the fifth year of King Seonjong(1088) can be compared to a third level scholar acting as the king's representative at Chamseong during the late Goryeo period. Moreover, when comparing the example of Mount Mari's Chamseong, one notices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management of its ceremonial area along with the preparation of the sacrificial resources and those carried out at Jeonseong's ceremonies. The issue surrounding the comparison of the sacrificial altars of Jeonseong and Chamseong's sacrificial altars is one of historical consciousness. Jeonseong's character as merely a sacrificial altar evokes a serious contrast with that of Chamseong which is known as "Tangun's sacrificial altar." This can only provoke a severe gap in historical perception between the two locations, a gap which is recognized as dealing with the concept of historical succession. This is especially evident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king's direct participation in the sacrificial ceremony as he decreed "Samhan shall become Jindan(三韓變爲震旦)." By this, the king mean the transformation of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nation to include not only the remaining concept of Goryeo in the Samhan period, but also ancient Joseon and even pre-Joseon. It is thus necessary to consider the meaning behind this statement when considering the important fact that the compilation of Samgug-yusa and Jewang-ungi within the framework of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고려사』의 親醮ㆍ大醮ㆍ醮
Ⅲ. 氈城의 祭天禮
Ⅳ. 氈城과 摩利山塹城 제천단의 관계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환(Kim Sung Hwan). (2014).고려시대 氈城과 摩利山塹城의 제천단. 한국사학사학보, 30 , 45-79

MLA

김성환(Kim Sung Hwan). "고려시대 氈城과 摩利山塹城의 제천단." 한국사학사학보, 30.(2014): 45-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