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Development of Community Care for Elderly People in the UK

이용수 128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김근홍(Keun Hong Kim) 임병우(Byung Woo Lim)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21권 3호, 169~18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03.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50년대에서부터 1990년대까지 영국의 정책보고서에 나타난 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하여 1) 영국에서 노인을 위한 지역사회보호의 정책 개발에 영향을 준 요인들을 알아보고, 2) 이러한 요인들 상호간에 지역사회보호의 정책개발에 어떻게 작용했는지를 분석하여, 3) 영국의 경험들이 한국의 지역사회보호 정책개발에 주는 함의는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역사적 접근은 지역사회보호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이해할 기회를 제공하지만 자료 수집의 어려움과 수집한 자료의 신뢰성 확보 때문에 연구의 제한점이 있다. 영국의 지역사회보호는 1950년대 인구ㆍ경제학적인 요인, 1960/70년대 정치경제ㆍ서비스 전달에 관한 요인, 그리고 1980/90년대에는 비용의 효율성ㆍ서비스 관리에 관한 요인이 주요한 관심사들이었다. 이러한 요인들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을 위해 영국에서 지역사회보호 정책은 개인의 자유와 책임을 강조하는 신보수주의 철학을 기초로 수립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노인을 위한 지역사회보호 서비스 개발에 국가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시장원리의 장점을 접목하게 되었다. 한국에서 노인을 위한 지역사회보호는 경제ㆍ사회적으로 심한 격동기인 1980년대에 태동하였고, 정책 입안자들은 지역사회보호의 활성화를 위하여 가족 서비스 중심의 잔류적 서비스 개발을 강조하여왔다. 따라서 잔류적 서비스 강조는 국가개입을 최소화한다는 면에서 신보수주의 철학과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보수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한국의 지역사회보호 정책이 영국의 지역사회보호에 대한 정책의 수준과 출발점은 다르겠지만, 방향성에 있어서는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한 이유들로 영국의 경험은 부분적으로 한국의 지역사회보호 정책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re 1)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policy development of community care for elderly people in the UK, 2) to analyze what and how the interaction among the factors, and 3) to implicate of the UK experience for the policy development of community care in Korea. The study focuses on policy changes in community care from 1950s to 1990s, seen in a series of the UK government reports. Historical approaches take advantage of gaining a deeper and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policy development issues on community care than a epoch. However, there are many difficulties of historical studies, such as practical considerations concerning about obtaining and reliability of data. Community care policies have a number of different and common features which had mainly focused on demographic & economic issues in the 1950s, the economic-political and service delivery issues in the 1960s/1970s, and cost-effective and service management issues in the 1980s/1990s. As far as concerned, how to solve out issues oriented from the interaction among those factors mentioned above, it is analysised that the philosophical basis of community care policy, neo-liberalism, had taken a role of solving the issues out in the UK. Neo-liberalism has highly valued the individual's freedom of decision-making and individual responsibility. Consequently, in the course of debates on community care policy the trend has been to pose the merit of the market and a need to reduce the state role. In Korea fundamental to community care is the fact that it has been taking place during the process of speedy transformation of economic and social change since the 1980s. Policy makers have emphasized the residual approach as a basic policy development of community care. Residual approach tends to be associated with neo-liberal philosophy of minimal state intervention. That is why we can possibly say that Korean community care policy based on neoliberalism is in the same direction as that in the UK although Korea has pursued toward the policy from a very different starting point and levels of the case in the UK Allowing for the context it can be argued that community care developed in the UK could be partly adapted for the policy development of community care in Korea.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Policy development of community care for elderly people
Ⅲ. Summary & Implications of the UK experience for the policy development of community care in korea
Reference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근홍(Keun Hong Kim),임병우(Byung Woo Lim). (2002).Development of Community Care for Elderly People in the UK. 한국노년학, 21 (3), 169-182

MLA

김근홍(Keun Hong Kim),임병우(Byung Woo Lim). "Development of Community Care for Elderly People in the UK." 한국노년학, 21.3(2002): 169-1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