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 노인보건시설의 규모 및 기능적 특징에 관한 연구

이용수 207

영문명
A Study on Architectural Scale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Intermediate Health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Japan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김태일(Tae Il Kim) 김정희(Jeong Hee Kim)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23권 1호, 59~7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03.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재 우리나라 노인시설의 경우 재가생활을 하더라도 충분한 재가복지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어 요양원이나 양로원과 같은 수용시설에 어쩔 수 없이 입소할 수밖에 없는 경우도 있어 재가복지를 지원하는 시설공급이 절실히 요구되며 특히, 주택과 시설의 중간적인 기능을 가진 시설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급속한 고령화 사회를 경험하고 있고 사회적 구조나 가족관계 등에 있어서 유사성이 많은 일본의 노인복지시설의 분석은 좋은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지역복지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주택과 수용시설의 중간적인 기능을 갖는 시설로 공급된 일본 노인보건시설분석을 통하여 앞으로 검토되어야 할 중간시설 계획상의 기초적인 자료수집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 자료는 「老人保健施設ㆍ訪問看護 ステ-ショソ名簿 平成11年厚生省大臣白房統計情報部編」을 이용하여 총2393개소의 시설 가운데 각 종류별로 10씩 추출하여 총 239개소시설을 무작위 추출하여 시설의 직원 및 수용인원의 규모, 건축규모와 시설의 주요 기능, 그리고 조사개시 이전 1개월간 퇴소자의 신체기능정도, 연령, 가족관계, 입소 및 퇴소장소 등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한 우편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로서 시설의 규모에 있어서는 각 실별 원단위 면적을 파악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입소정원과 통소정원에 따른 시설규모(연면적) 산출 회귀식과 인원수에 의한 원단위 면적을 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시설의 기능에 의한 특징에 있어서는 시설 기능 그 자체가 퇴소 후의 장소, 입소기간, 시설의 규모, 신체기능정도 등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병설된 시설의 종류에 따라 입/퇴소 장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의료시설 병설형은 병원으로 옮겨가는 비율이 높은 반면, 단독시설형과 의료/사회복지시설 병설형의 경우 병원보다는 사회복지시설로 옮겨가는 비율이 높아 병설되는 시설의 형태에 따라 퇴소후의 장소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based on those health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Japan which can be regarded as intermediate ones between community-based facilities and long-term care institutions. And aim of this study is to get a data for planning of intermediate facilities by analysis of Japanese intermediate facility which is called "Health facility for The elderly". 「List book of health facilities & visiting care station 1999」, which was published by ministry of social welfare of Japan, was used in order to research and analyze facilities. 239 facilities, which were 10% of all Japanese health facilities,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function of EXCEL. Data were gathered from 118 facilities through mail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Result are as follows. : 3 types were classified by function of facilities and its scale, functional peculiarity was supposed for each type. In case of unit scale, the units for elders with dementia had larger square meters than those for elders in general. The major places residing before admission and after discharge were home ("from home to home") and hospital ("from hospital to hospital"), which seems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type of the affiliated facilities. Suggestions were made for further studies examining influencing factors on the type of places residing before admission and after discharge.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태일(Tae Il Kim),김정희(Jeong Hee Kim). (2003).일본 노인보건시설의 규모 및 기능적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3 (1), 59-74

MLA

김태일(Tae Il Kim),김정희(Jeong Hee Kim). "일본 노인보건시설의 규모 및 기능적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3.1(2003): 59-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