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주자가례의 정착과 <소현성록>에 나타난 혼례의 양상

이용수 141

영문명
The Acceptance of Jujagarai and Marriages in So Hyun Sung Rok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김경미(Kim Gyung Mi)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13권, 5~28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소현성록> 본전을 중심으로 중심인물들의 혼례 양상을 주자가례의 정착과 관련하여 살펴본 것이다. 주자가례가 유입된 이후 조선 왕조는 유교적 혼례를 어떻게 정착시키려 했는지, 혼례에 대한 인식은 어떠했는지, 실제로 양반의 혼례가 어떻게 변화했으며, 혼인에 대한 인식은 어떠했는지 등 주자가례 유입 이후 혼례의 양상을 살펴본 뒤 이를 중심으로 17세기에 창작된 것으로 보이는 <소현성록>의 성격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혼례를 통해 <소현성록>을 다시 해석해 보고자 한 것은 혼례는 남녀의 만남을 형식화한 것으로 혼례에 대한 의식은 남녀 관계, 부부 관계, 가족 관계에 대한 당대의 인식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혼례에는 한 사회가 요구하는 남녀 관계, 가족 관계 및 이들 관계에 숨어 있는 물질적 관계까지가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17세기 역사 및 문집 자료들을 통해 주자가례에서 제시하고 있는 친영 제도가 정착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17세기 조선사회를 반영한 것으로 생각되는 <소현성록>에도 반영되어 나타났다. 즉 친영이 이루어지는 혼인과 친영이 이루어지지 않은 혼인이 혼재하는 양상을 보인 것이다. 특히 친영이 이루어지는 혼인은 며느리의 경우이고, 친영이 이루어지지 않은 혼인은 딸들의 경우로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며느리가 시집에 들어가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는 반면 딸은 친정에 머물도록 하는 것은 유교적 원칙에 충실하기보다는 당시 가문의 중심이 되었던 어머니 즉 <소현성록>의 경우 양부인의 욕망을 반영한 것이라고 보인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이를 여성주의적인 작품으로 보기는 어렵다. 작품의 궁극적인 귀결이 유교적 가문을 이루는 데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현성록>은 유교적 이상주의를 내세우는 작품이라기보다는 가문의 지속과 번창을 꿈꾸는 유교적 세속주의를 내세우는 작품이라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ries to analyze marriages of main characters in So Hyun Sung Rok, a work of the 17th century Chosun dynasty considering the relation with the acceptance of Jujagarai. The reason why I try to reinterpretate So Hyun Sung Rok, through focussing marriages is that the perception of marriages reflects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ives,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s and wives and other familial relationships were perceived in those days. The historial and literary documents in the 17th century shows that the rule of Chinyoung in Jujagarai was not settled in those days and this is reflected in So Hyun Sung Rok which is told to represent the 17th century Chosun dynasty. In So Hyun Sung Rok, marriage following the rule of Chinyoung and marriage not following it are found at the same time. Marriage with the rule of Chinyoung was applies to daughters -in-law, and marriage without Chinyoung was applied to daughters. While it was natural that daughters-in-law should live in their husbands' house, daughters were allowed to live in their fathers' house. This phenomenon shows So Hyun Sung Rok followed not the principle of Confucianism but the desires of a mother, matron Yang who is the center of their family in this work. But we can not say that this work is a feminist work because the conclusive suggestion of this work is building a Confucian family. In this sense So Hyun Sung Rok is rather a work which tells Confucian secularism with the dream of building prosper family than a work of Confucian idealism.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주자가례』를 통해 본 혼례의 의미
3. 『주자가례』식 혼례의 정착과 저항
4. <소현성록>에 나타난 혼례의 양상과 그 의미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미(Kim Gyung Mi). (2006).주자가례의 정착과 <소현성록>에 나타난 혼례의 양상.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13 , 5-28

MLA

김경미(Kim Gyung Mi). "주자가례의 정착과 <소현성록>에 나타난 혼례의 양상."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13.(2006): 5-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