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주 무속신화에 나타난 이중의 외부성과 젠더의 얽힘

이용수 258

영문명
Two imported cultures and the gender in the mythology of Jeju-island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조현설(Cho Hyun soul)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18권, 455~482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제주 신화의 의미를 여는 두 개의 키워드는 이중의 외부성과 젠더이다. 제주 신화의 뿌리인 송당본풀이를 보면 부부관계를 맺는 남신 소천국은 토착적 수렵신의 성격을 지니고 있고, 여신 백줏도는 외래적 농경신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양자 가운데 행동양식에 있어 우월한 지위에 있는 존재는 백줏도이다. 이는 제주 신화가 외래자를 우위에 두는 사유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그런데 세화본향당본풀이를 보면 백줏도와는 다른 외래자가 등장한다. 서울에서 태어난 금상은 국가를 위협하는 역적(혹은 천하명장)의 이미지를 지닌 존재로 제주도를 피난처로 삼아 도래한다. 이처럼 제주신화는 백줏도로 표상되는 농경문화, 금상으로 표상되는 군사(혹은 국가)문화라는 이중의 외부성을 특징으로 지니고 있다. 그런데 이 같은 이중의 외부성은 젠더와 얽혀 있어 더 문제적이다. 농경문화와 수렵문화의 결합인 백줏도와 소천국의 결혼관계에서 양자는 대등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오히려 백줏도가 주도적이다. 하지만 백줏도와 금상의 결합 양상은 사뭇 다르다. 송당계본풀이인 <세화본향당본풀이>의 백줏도는 육식을 하는 소천국은 거부하지만 같은 육식을 하는 외래자 금상은 자신의 식성을 유보하면서까지 받아들인다. 이 수용의 과정은 여신 백줏도의 젠더가 재조정되는 과정이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백줏도는 본래 지니고 있던 주체적 형상을 완전히 상실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타자의 처지에서 금상을 포용하여 함께 좌정하는 새로운 모습을 보여준다. 이런 백줏도의 형상은 일반신본풀이인 <세경본풀이>의 자청비를 통해 재현된다.

영문 초록

The two imported cultures and gender are the two keywords that open the mythology of Jeju-island. Songdang-bonpuri, the root of Jeju mythology has god Sochunguk and goddess Backjutto as a couple. Sochunguk is a native hunting god and Backjutto is an imported agricultural goddess. Backjutto is superior to Sochunguk in the action pattern. This states that the nature of Jeju mythology is to place the outsider at a higher position. But, an outsider other than Backjutto appears in Sehwadang-bonpuri. The outsider, Kemsang who was born in Hanyang(capital city) has an image of a rebel. He came to Jeju-island for shelter. Like this, the mythology of Jeju island got two imported cultures; agriculture and military. However, more important matter is the tie-up of these two cultures and the gender. Backjutto and Sochunguk have equal status in their marriage. Sometimes Backjutto is rather superior. But the marriage of Backjutto and Kemsang is completely different. Backjutto of Sehwadang-bonpuri that belongs to Songdang-bonpuri lineage rejects Sochunguk, who eats meat. But, she adjusts her like and dislikes accepting Kemsang, who eats meat. This course of acceptance is the process of genderization of Backjutto. The shift of women domination to men dominated culture in Dang-god(堂神) led to the transformation of Backjutto. The characteristics of Jeju mythology is that it shows the men-women relation in state society, non-state society and in the cultures of military and agriculture.

목차

국문초록
1. 문제제기
2. 송당계 본풀이와 이중의 외부성
3. 이중의 외부성과 젠더의 얽힘
4. 맺음말-논의의 확장 가능성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현설(Cho Hyun soul). (2009).제주 무속신화에 나타난 이중의 외부성과 젠더의 얽힘.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8 , 455-482

MLA

조현설(Cho Hyun soul). "제주 무속신화에 나타난 이중의 외부성과 젠더의 얽힘."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8.(2009): 455-4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