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妓生 詩帖의 존재양상과 문화사적 의미

이용수 305

영문명
The Actual State and Cultural Meaning of Gisaeng Album in Chosun Dynasty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정우봉(Chung Woo bo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18권, 421~454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妓生 詩帖 자료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기생문화의 일단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생 시첩은, 비록 사대부 남성의 문자를 빌리고 있지만, 기생 스스로 자신들의 삶의 일부분을 기록으로 남기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그녀의 딸과 손녀들에 의해 전승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기생 가문의 역사를 만들고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기생 시첩은 기생 자신의 역사를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생 개인을 넘어서 기생 가문의 역사를 증언하고 있다. 이 점은 사대부 남성들이 자기 가문의 명성과 위상을 높이기 위해 문집을 간행하고, 아들들에 의해 가업과 함께 문집이 전승되는 것과 대비된다. 우리는 기생 시첩 자료를 통해 특정 기생의 구체적 삶의 모습을 이해할 뿐만 아니라, 모계 혈통에 의해 세습되었던 기생 문화의 특성을 밝히는 데에도 도움을 주리라 기대한다. 또한 기생 시첩은 특정한 기생을 위해 다수의 남성 문인들이 글을 써 주는 것인만큼, 기생과 남성 문인들 사이의 상호 소통과 교감을 전제하고 있다. 기생 시첩에서 기생과 남성들 사이의 관계는 매우 다채로운 형태로 나타난다. 인간적 교감을 바탕으로 한 애정과 우정의 양상을 보이기도 하고, 樂歌舞의 뛰어난 예술적 재능에 공감하는 양상을 띠기도 하며, 의로움과 과단성, 용기 등을 중심으로 한 변치않는 정신에 대한 공감을 보여주기도 한다. 기생 시첩은 기생과 남성 문인들 사이의 다양한 상호 교감의 방식을 반영하고 있는 바, 조선시대 기생문화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focused on the widening our understanding of Gisaeng culture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is work is basically based on the Gisaeng album(妓生詩帖) which many literary men wrote for a gisaeng. Gisaeng album is important because the album was Gisaeng's special way of the writing. And Gisaeng album is important because the album made the hisory of Gisaeng's family. Gisaeng album not only included her own history but also showed her family hisory. I believe that analyzing the actual state and cultural meaning of Gisaeng album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cultural history of Gisaeng in Chosun dynasty. Also, I expect that this kind of approaching which shows how to make a record Gisaeng album and how to transmit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by Gisaeng's daughters could play a role in creating another methodology to analyze Gisaeng culture.

목차

국문초록
1. 문제 제기
2. 조선시대 기생 시첩의 개관과 글쓰기 방식
3. 기생은 왜 기생 시첩을 만들었는가: 기생의 자기 역사 만들기
4. 사대부들은 왜 기생 시첩에 시를 썼는가: 기억의 공유와 확산
5. 기생 시첩의 전승: 기생의 가문 역사 만들기
6.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우봉(Chung Woo bong). (2009).조선시대 妓生 詩帖의 존재양상과 문화사적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8 , 421-454

MLA

정우봉(Chung Woo bong). "조선시대 妓生 詩帖의 존재양상과 문화사적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8.(2009): 421-4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