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세기 초 뉴욕의 재현과 미국미술의 확장

이용수 185

영문명
The Ashcan School: Representations of New York and the Expansion of American Art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저자명
김진아(Kim, Jina)
간행물 정보
『순천향 인문과학논총』33권 3호, 189~223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0.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애쉬캔파'를 근대 미국미술의 중요한 서막으로 인식하고, 애쉬캔파 미술이 어떻게 유럽 전통의 고답적 또는 인상주의적 미술에서 벗어나 동시대성, 다양성, 그리고 차이에 대해 새롭게 인식해나가고 있었는지 고찰한다. 20세기 초 헨리를 주축으로 글라켄즈, 슬론, 럭스, 쉰, 벨로우즈 등은 활기와 흥분, 부와 안락, 노동과 빈곤 등 다양한 양상과 변화로 가득 찬 대도시야말로 미국인의 삶을 가장 잘 보여주는 곳으로 간주했으며, 화폭을 통해 그 실상을 재현했다. 애쉬캔 즉 쓰레기라는 명칭이 암시하듯 당대의 기준으로는 예술적 소재로 적합하지 않았던 일상 속의 더럽고 저속한 모습까지 포함했다. 따라서 보수적인 평론가들은 고상한 예술 취향과는 거리가 멀다고 간주했으며, 그 후 학계에서도 이러한 사실주의적 경향을 혁신주의나 좌파적 사실주의와 연결시켜 간주하곤 했다. 하지만 이들의 미술은 혁신주의적 도큐멘트나 사회주의적 삽화와는 여러 차이들을 보여주며, 굳이 '추함'을 지향한 시도도 아니었다. 본고는 통념적으로 애쉬캔파를 '더럽고' '추한', '사회적' 미술 혹은 아카데미에 반항한 '독립적' 미술로 바라보아온 두 대조적인 시각 모두를 지양(止揚)하며, 애쉬캔파 미술이 추함/아름다움, 더러움/깨끗함, 신이민자/앵글로 사이의 이분법적 구도와 도덕적 편견을 해체하는 양상을 살펴본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onsiders the "Ashcan School" as an important beginning in modern American art. It examines how Ashcan artists escaped the transcendent and impressionist genres influenced by European art, and examines their newly recognized contemporaneity, diversity, and differences in American culture and society. Led by Robert Henri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artists John Sloan, George Luks, Everett Shinn, William Glackens, and George Bellows considered large cities-particularly New York, which was filled with vigor and excitement, wealth and comfort, labor and poverty-as the best place in which to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American life, and they portrayed city through vivid depictions. Their paintings, as indicated by the term "ashcan," depicted dirty, lowbrow daily life, which had previously been considered improper as artistic content. Conservative critics complained that these artists' work was far from good taste, while some scholars connected its realistic tendencies to progressivism or leftist realism. Yet, Ashcan works display different views and atmospheres from progressivist photographs, as well as from socialist illustrations. They were intended neither to expose "ugliness" nor to be described as "ugly." This paper therefore rejects the previous binary perspectives on the Ashcan School as "dirty," "ugly," and "social" or as "independent" and "revolutionary." Rather, it recognizes that their works blur the lines between ugly and beautiful, dirty and clean, immigrant and Anglo, rich and poor.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필라델피아에서 뉴욕으로
Ⅲ. 애쉬캔파 미술의 특징과 양가적 해석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아(Kim, Jina). (2014).20세기 초 뉴욕의 재현과 미국미술의 확장.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3 (3), 189-223

MLA

김진아(Kim, Jina). "20세기 초 뉴욕의 재현과 미국미술의 확장."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3.3(2014): 189-2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