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한글 필사 연행록 서체의 조형성 고찰

이용수 200

영문명
A Study on the External Shape of Chosun Dynasty Yonhaengrok Scripts Transcribed in Hangul- Focusing on the Yonhaeng-Ilgi, Eulbyong-Yonhaengrok and Muo-Yonhaengrok -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최영희(Choi, Young-hee)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25호, 117~146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조선 숙종, 영조, 정조연간에 시행된 한글 필사 연행록 『연행일기』·『을병연행록』·『무오연행록』을 중심으로 서체의 조형적 측면을 탐색 18세기의 한글 서체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행록은 대략 5백여종이 현존하는 가운데 한글 연행록은 20여종으로 파악되었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한글 연행록은 김창업의 『연행일기』, 홍대용의 『을병연행록』, 서유문의 『무오연행록』으로 제작·필사 등의 정확한 연도를 밝힐 수는 없지만 사행의 시기만을 기준으로 볼 때, 『연행일기』(1712년) → 『을병연행녹』(1765년) → 『무오연행록』(1798년) 순으로 작성 순서를 정할 수 있다. 3종 한글 연행록 서체의 용필 및 결구에 따른 변화를 살펴본 결과 모음은 縱母音 세로획의 경우 『연행일기』 문자는 가늘고 긴 직선획이며, 『을병연행록』과 『무오연행록』 문자는 획이 굵고 짧은 曲直의 획이다. 橫母音 가로획의 길이는 3종 연행록이 같은데, 종모음에 비해 짧은 것이 특징이다. 이외 3종 연행록 모음자 점·획의 접필에 따른 변화는 같다. 따라서 모음자는 장단의 변화는 있으나 외형은 같다. 초성자음 또한 개인의 필의에 따라 入筆 등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모음에 따른 초성자음의 형태는 같다. 문자의 결구는 3종 연행록의 자·모음의 결구에서 오는 형태 변화는 같다. 그러나 『연행일기』 문자가 모음 세로획이 길어 외곽이 세로로 긴 자형이며, 『을병연행록』과 『무오연행록』 문자는 상하로 짧은 자형이다. 문장의 장법은 3종 연행록 책의 크기는 평균 30×20cm(세로×가로) 內外로 한 면이 10행에 한 행 20자 내외를 배자하고 있다. 字와 字의 연결은 『연행일기』는 대체로 독립된 자형을 이루어 단정함을 주는 반면, 『무오연행록』은 자와 자의 연결이 많고 한 행의 배자를 많이 하고 있어 답답하다. 그러나 3종 연행록 모두 문자의 축약은 보이지 않는다. 이상 18세기 초·중·말기에 시행된 3종 연행록의 서체를 살펴본 결과 18세기 초에 이미 자음은 하나의 정형을 이루어 고정화 되었으며 18세기 중기이후부터 모음세로획이 짧아지면서 초중성좌우합자의 외곽이 方形에 가까운 둥근 미감의 서체로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provides changes in handwriting in the 18th century by focusing on the external shape of handwriting in Yonhaeng-Ilgi, Eulbyong-Yonhaengrok and Muo-Yonhaengrok during the reign of such kings of the Chosun dynasty as Sukjong, Youngjo, and Jungjo. There are approximately 500 Yonhaengroks, among them, there are 20 Yonhaengroks written in Hangul. Most prominent Yonhaengroks in Hangul include Kim Chang-Up’s Yonhaeng-Ilgi, Hong Dae-yong’s Eulbyong-Yonhaengrok, and Seo Yoo-moon’s Muo-Yonhaengrok. Although it is difficult to figure out when and how they were written and produced, by just estimating when they were written, it could help determine the year of production; Yonhaeng-Ilgi in 1712 → Eulbyong-Yonhaengrok in 1765 → Muo-Yonhaengrok in 1798. Based on observation on changes in the use of brush and the conclusion of the three Yonhaengroks, vertical stroke for the final vowel in the Yonhaeng-Ilgi is thin, long and strait. Meanwhile, in the Eulbyong-Yonhaengrok and Muo-Yonhaengrok, writings are thick and short consonants. Cross stroke of lateral vowels’ length is equal in all three works. One unique feature at this point is that their length is much shorter than the vertical vowel. The writers of the three works connected points and made a stroke for vowels, and they changed in a similar pattern. Although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among the writers depending on the first consonants and brushes chosen by the writers, basic forms of the first consonants are the same. Concluding part (both vowels and consonants) of the three works has the same pattern of change. However, in Yonhaeng-Ilgi, vowel vertical strokes are long, thus outer part of the work has a long vertical length, while letters in Eulbyong-Yonhaengrok and Muo-Yonhaengrok have short vertical length. Size of the three works is 30×20cm (length×width) on average, a double-sided page displays 10 lines, and one line includes approximately 20 words. Words in Yonhaeng-Ilgi look neat as the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However, in Muo-Yonhaengrok, many wor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re are many words in a single line, making the page look busy. All the three works do not display abbreviation of the words. Based on observing handwritings of three Yonhaengroks during the early, middle and late 18th century, we could find that vowels were already fixed in a single form in the early part of the 18th century. Since the mid-18th century, vowel vertical stroke became short, handwritings have changed to a round form, whose shape is almost a square.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연행록의 형성 배경과 시행시기별 한글 연행록
Ⅲ. 3종 연행록의 서지적 고찰
Ⅳ. 3종 연행록 書體의 造形적 특징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영희(Choi, Young-hee). (2014).조선시대 한글 필사 연행록 서체의 조형성 고찰. 서예학연구, (25), 117-146

MLA

최영희(Choi, Young-hee). "조선시대 한글 필사 연행록 서체의 조형성 고찰." 서예학연구, .25(2014): 117-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