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元 멸망 전후의 元ㆍ高麗ㆍ明 관계

이용수 1089

영문명
A Study on Relations among Yuan, Koryo and Ming around Fall of the Yuan Empire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윤은숙(Yoon, Eun-sook)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51집, 121~152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8.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원의 북상 이후 요동을 두고 대립했던 원과 명은 상호 견제와 균형을 위해 고려의 협력을 강력하게 희망하고 있었다. 고려가 명과 국교를 개시하자, 원은 톡토부카를 고려왕에 옹립함으로서 고려를 압박해 정요위 공격에 동참시키려 했다. 결국 우왕 책봉을 통해 고려와의 구질서를 회복시키고 원 중심의 동아시아 국제관계를 성립시켰으나, 고려는 정요위 공격에 동참하라는 원의 요구를 수용하지는 않은 채 명과도 일정한 관계를 유지했다. 따라서 고려는 원과 명 모두에 사신을 파견하는 양면외교를 지속함으로서 동아시아에서는 고려ㆍ원ㆍ명이 일정정도 삼각균형이 유지할 수 있었다. 이렇듯 고려와 원의 잦은 왕래는 명의 심기를 불편하게 하기에 충분했다. 특히 여ㆍ원 연합군이 요동을 공격할 것이라는 첩보를 입수한 명은 서둘러 丁彦 등의 고려인 358명을 고려로 귀환시키면서 고려를 회유하기 시작했다. 고려도 아유시라다라 카안 사망으로 급격히 원이 쇠퇴하고, 원, 나가추와 고려를 각각 고립시키려는 명의 정책이 큰 성과를 거두자 貢馬 5,000마리를 명에 보내 적극적인 관계 개선을 시도하는 등의 유연한 대외정책을 실행했다. 그러나 1387년 5월에 나가추의 투항과 다음해 4월에 원의 소멸로 14세기말 동아시아의 국제관계가 다원적 관계에서 일원적 관계로 변모함에 따라 초강대국이 된 명은 고려에 대한 유화책을 철회하고 강경책으로 돌변했다. 명은 원 소멸 전에는 강경책과 회유책을 반복했지만 원이 실재하는 상황에서 주로 對고려정책은 회유책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나가추의 투항과 원의 멸망은 명의 對고려정책를 강경책으로 급속히 변모시켰고, 이것은 고려 멸망까지 지속되었다. 명은 고려에서 파견된 사신들을 구금하거나 입경을 거부했으며, 나아가 고려에 철령위 설치를 통보하는 등의 강도 높은 강경책을 실시했다. 이러한 명의 강경책은 최영의 요동정벌을 야기해 결과적으로 고려가 멸망하는 도화선이 되었다.

영문 초록

The study investigated reopening of diplomatic relations by examining not only Töqtö Büqa's enthronement of king of Koryo Kingdom before fall of Yuan Empire but also Ming's policy toward Koryo Kingdom after fall of Yuan to find out dynamic relations of East Asia that made change from pluralistic order to unitary order. Yuan Dynasty appointed ToqtoBuqa to be king of Koryo Kingdom to recover previous order between Koryo and Ming and to let Koryo join attack against Jeongyowi(定遼衛). On the other hand, Koryo Kingdom that resumed diplomatic relations with Yuan dispatched envoy to Ming to keep a certain relations and to keep triangular balance in East Asia. Allied forces of both Koryo and Yuan was likely to attack Ming's military base in Liaodung so that Ming gave up previous hard-line policy and started to follow appeasement policy toward Koryo. Koryo Kingdom that resumed diplomatic relations with Yuan was suspicious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Yuan when Yuan Empire lost power rapidly because of not only consecutive death of both Koke Temur and Ayuširidara but also Ming's isolation policy blocking connection among Yuan, Nagachü and Koryo. Koryo positively accepted Ming's imposing of tribute in the name of enthronement of King Uwang. In 1384, Koryo sent as many as 5,000 horses to Ming that was much larger than previous number, and recovered relations with Ming disconnected to take active actions against changes of political situation. Before fall of Yuan, Ming repeated both hard-line policy and appeasement policy and actually often followed appeasement policy. Ming's policy toward Koryo made change to be hard-line policy at Nagachü's surrender and Yuan's fall that lasted until fall of Koryo. Ming detained Koryo's envoy or rejected entering into capital city and notified opening of Cheolryeongwi(鐵嶺衛) in Koryo to follow hard-line policy. Ming's hard-line policy triggered Choi Yeong's conquest of Liaodung to let Koryo fall.

목차

Ⅰ. 머리말
Ⅱ. 元의 톡토부카 옹립과 高麗와의 국교재개
Ⅲ. 고려ㆍ원의 교류 단절과 고려ㆍ명 관계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은숙(Yoon, Eun-sook). (2014).元 멸망 전후의 元ㆍ高麗ㆍ明 관계. 역사문화연구, 51 , 121-152

MLA

윤은숙(Yoon, Eun-sook). "元 멸망 전후의 元ㆍ高麗ㆍ明 관계." 역사문화연구, 51.(2014): 121-1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