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녀수와 결혼한 성인자녀와의 동거가 노후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62

영문명
Effect of Number of Children and Coresidence with Married Adult Children on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Korean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유성호(Seong Ho Yoo)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17권 2호, 37~50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7.06.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후생활만족도와 관련된 변인을 조사한 선행연구 가운데 우리 나라 노년학의 제연구에 있어서의 문제점으로 성별의 차이를 거의 무시하고 있는 점과 우리 나라를 포함한 선진 외국의 경우 결혼상태에 따른 차이점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 분석상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또한 자녀수와 노후생활만족도의 관계에 있어서 우리 나라와 미국을 비롯한 선진제국의 연구 결과가 서로 일치하지 않고 있음을 지적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자녀수와 결혼한 성인자녀와의 동거가 노후생활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조사하기 위하여 자녀가 있는 노인을 성별과 결혼상태에 따라 네 가지로 분류하여-- 즉 배우자 있는 남성노인, 배우자 있는 여성노인, 사별한 남성노인, 사별한 여성노인-- 독립변수인 자녀수와 결혼한 성인자녀와의 동거가 각 범주에 속한 노인들의 노후생활만족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는 것이다. 1994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우리 나라 노인생활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전체 노인 가운데 확률표집방법(probability sampling)에 의하여 표집된 60세 이상 재가노인 2,058명의 표본 자료를 이용하여 그 가운데에서 연구 목적에 맞는 1,61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 나라 노인의 경우 노후생활만족도를 설명해 주는 변인들은 성별과 결혼상태에 따라 분명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자가 있는 남성노인의 경우 노후생활만족도를 설명해 주는 주요 변인은 건강상태와 소득이었고, 배우자와 사별한 남성노인의 경우는 건강상태였다. 배우자의 유무와 상관없이 여성노인에게 있어서 건강상태, 결혼한 성인자녀와의 동거 및 소득은 노후생활만족도를 설명해 주는 주요 변인이었다. 여성노인의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자녀수와 노후생활만족과는 정적관계에 있었고, 배우자와 사별한 남성노인의 경우는 부정적인 관계에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교적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는 우리 나라 노년학의 미래 연구와 노인복지정책의 시행에 있어서 노인들간의 차이점 즉 '노인의 다양성 (diversity or heterogeneity)'에 신경을 써야 할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oints out analytical problems of previous research on the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in which ignorance of differences of gender and marital status is frequently discovered. Also inconsistent findings of relationships between number of children and life satisfaction are discussed. By eliminating these deficienci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number of children and coresidence with married adult children on life satisfaction. The Korean elderly respondents a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characterized by gender and marital status-married males, widowers, married females, and widows. For the study sample, a national data conduc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1994 was used. The data involve 2,058 uninstitutionalized Korean elderly aged 60 years and older. 1,611 individuals a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tudy results show a definite difference by gender and marital status. For married males, self-rated health and income were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However, far the widowers, self-rated health was a statistically important variable explaining the dependent variable. Included as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for both married females and widows were self-rated health, coresidence with married adult children, and income. An interesting finding was that number of children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life satisfaction for females, 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o the widowers, the relationship was negative, though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The concept of aged diversity(or heterogeneity) was suggested for the future research and social policy for the aged.

목차

국문요약
문제의 제기
연구 방법
결과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성호(Seong Ho Yoo). (1997).자녀수와 결혼한 성인자녀와의 동거가 노후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17 (2), 37-50

MLA

유성호(Seong Ho Yoo). "자녀수와 결혼한 성인자녀와의 동거가 노후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17.2(1997): 37-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