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집살이 노래에 관한 일고

이용수 430

영문명
A Study on SiJibSali Folk songs of Traditional Korean family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이정아(Lee, Jung-Ar)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11권, 264~29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시집살이 노래는 시집살이의 한 가운데 있는 며느리가 부르는 노래라고 여겨져 왔고 사회 구조적으로 억압되었던 타자의 노래라고 인식되어왔다. 많은 선행연구들이 이러한 고정관념으로 벗어나기 위해 다각적인 텍스트 읽기를 시도하였지만 여전히 시집살이 노래는 한스러움과 서러움을 들추어내는 노래라는 인식으로부터 벗어나기 어려워 보인다. 이를 위해 본고는 노래의 형성 배경이 되는 사적 조망과 함께 여성 생애를 통해 구현되는 노래 부르기의 양상을 주목하기로 하였다. 시집살이는 18-19세기에 자리 잡은 낯선 습속이었고 여성은 이에 적응해 나가야만 했다. 시집살이 노래는 이러한 과정에서 만들어진 역사적 산물이다. 평민 여성의 생애는 크게 큰아기 시절, 며느리 시절, 시어머니 시절로 나누어진다. 여성은 큰 아기 시절부터 풍성하고 다양한 노래의 토양 속에 자라나게 되지만 며느리 시절에는 적극적인 노래 부르기를 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다가 시어머니 혹은 어머니 시절이 되어서야 적극적인 노래 부르기가 가능해지는데 시집살이 노래 역시 이러한 시기가 되어서야 마음 놓고 부르게 되는 노래라고 보여 진다. 18-19세기 조선의 강력한 가부장적 사회에서 이중적으로 타자화 될 수밖에 없었던 여성은 가족 내에서 만큼은 실질적인 권한을 가질 수 있었다. 여성은 이러한 가족 내의 실권을 획득하기 위해 시집살이를 내면화하고 이에 적응해나가는 보수화의 주체가 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가족 내의 실권자로서 자리하고자 했던 여성은 또 다른 여성(신입자 며느리)을 타자화시켰고 이렇게 타자화된 여성은 일정 시기를 거치면서 다시 그 주체의 자리에 설 수 있었다. 이러한 관계의 순환성은 시집살이 노래가 만들어져 전승되는 형성 배경에 중요한 환경적 요인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시집살이 노래는 노동의 필요에 의해 불려지고 억압된 욕망과 감정을 발산하기 위해 불려졌지만 동시에 시집살이를 당연한 통과의례로 여기게 만드는 내면화의 기능 역시 수행해나갔던 것이다.

영문 초록

SiJipSali folk songs can be defined as songs which were composed and developed by daughter-in-laws in traditional Korean family structure in which daughterin- laws were controlled and abused physically, mentally, and emotionally. These songs have been understood as songs by Others. Many preceding studies have tried various approaches to the text to seek the possibility, but there has been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understating of these songs. They are still perceived as sad and discontented songs. In order to chieve the aim this study will focus on women personal perspective which was the most important foundation of composing these songs, along the way of these songs being sung because the way was developed throughout women life. SiJipSali folk songs were developed along the process of SiJipSali, living in husband family as a daughter-in-law. In traditional Korean culture women life can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Big Baby, Daughter-in-Law, and Mother-in-Law. These songs seem to be sung by mother-in-laws rather than daughter-in-laws. The strong patriarch society of 18th-19th century Korea made women the alienated lower class others, but they had a meaningful authority within family. The severity of this otherness in lower and middle class family was much more serious. These women ironically initiated the process of otherness of daughter-in-law to gain their own authority against other women. To get a status of independent subject for themselves women had to alienate their daughter-in-laws, pushing them to a status of other. These alienated daughter-in-laws were eager to alienate their own daughter-in-laws to be independent subjects. This circular structure of relationship seems to be the most critical factor in developing the songs. SiJipSali folk songs were sung by daughter-in-laws to sooth their physical and mental pain caused by heavy loaded work and brutal abuse in relationship. However, these songs can be used as effective tools to train and inform new daughter-in-laws about the ordeal that they have to go through to be mother-in-laws, the independent subject.

목차

요약
1. 들어가며
2. 시집살이 노래의 형성 배경
3. 여성의 삶과 노래
4. ‘말함’의 해방감과 내면화의 기능
5.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아(Lee, Jung-Ar). (2005).시집살이 노래에 관한 일고.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11 , 264-291

MLA

이정아(Lee, Jung-Ar). "시집살이 노래에 관한 일고."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11.(2005): 264-2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