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Where do I come from? What am I? Where am I go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work identity change process between age groups

이용수 121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인사조직학회
저자명
김나정
간행물 정보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한국인사조직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1~42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9.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노동인구는 점점 더 "은빛화(고령화)"되어가고 일생에 걸쳐 커리어 상 다양한 변화를 겪는 사람들의 수가 늘어나는 현 추세에도 기존의 문헌은 일과 커리어 상의 변화 및 적응 과정과 정체성 변화 과정에 나이가 미치는 영향을 간과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귀납적 접근 방법을 통하여 일의 변화와 일에 대한 정체성의 변화 간의 관계에 대한 시간적 관점 이론을 정립한다.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인 대형 보험회사에 일하는 47명을 대상으로 6개월에 걸쳐 실시된 통시적 질적연구의 결과를 통해 종업원들이 일의 변화를 겪을 때 경험하는 전반적인 일 정체성 변화 과정의 단계는 일의 변화 형태(기업 내부 이동 혹은 직장 이동) 및 연령대(인생의 초반부를 사는 X, Y세대 종업원 혹은 인생의 중후반부를 사는 베이비부머 세대)와 상관없이 종업원의 일 정체성 이야기의 방향성에 의해 가장 잘 구분 지어진다고 밝혀 졌다. 과거-현재-미래로 이어지는 시간이라는 공간에 놓여 있는 정체성 이야기의 방향성은 과거와 미래의 자아와의 비교, 타인과의 비교, 그리고 미래에 대한 관점에 따라 적응, 성장, 퇴보 세 가지로 나뉘었다. 일 정체성 변화 과정에서 인생의 초반부와 인생의 중후반부를 사는 사람들의 가장 큰 차이는 얼마나 많은 시간과 기회가 본인의 경력 및 삶 속에 남아 있다고 인식하는지에 있었다. 그리고 인생의 초반부를 사는 사람들과는 달리 인생의 중후반부를 사는 사람들은 일 밖의 개인적인 정체성을 일 정체성에 통합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과거, 현재, 미래의 일 정체성을 아우르는 통시적인 일 정체성 변화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정체성을 이야기로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발전시키고, 현재의 일 정체성 변화 과정이 과거와 미래의 일 정체성으로부터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를 밝히며, 일의 변화 속에서 연령이 미치는 영향을 명시한다.

영문 초록

Despite a "graying" workforce and a growing number of workers experiencing multiple work transitions over the course of their lives, extant literature has largely ignored the role of age in work transition experiences and its impact on the process of work identity change. In this study I employ an inductive approach to elaborate a theory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work transitions, work identity change, and age. The findings of a longitudinal qualitative study of 47 employees at a large financial services firm over six-month period make clear that, regardless of the types of work transition (role-based transition vs. membership-based transition) and employees' age (Gen X and Gen Y workers in early adulthood vs. Baby-boomer workers in middle adulthood), identity change is best captured as change in the direction of employees' work identity narratives. The direction work identity narratives situated across the temporal space of past, present, and future was defined as adjusting, progressing, and regressing depending on different combinations of intrapersonal/temporal, interpersonal/social, and future time perspective mechanisms. A major difference between older and younger workers came from the difference in the perceived amount of time and the perceived number of opportunities left in their own careers/lives. Further, in contrary to younger workers, people in the middle adulthood often integrated their non work-related personal identities to work identities. My research enriches emerging perspectives on work identity as narrative by proposing a temporally-oriented model of work identity change that bridges past, present, and future identities; explores how the process of work identity change at present is influenced by the identities of the past and the future; and delimits the role of age in identity change during work-related transitions.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on Work Identity Change
Ⅲ. Methodology
Ⅳ. Findings
Ⅴ. Discussion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나정. (2013).Where do I come from? What am I? Where am I go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work identity change process between age groups.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 2013 (3), 1-42

MLA

김나정. "Where do I come from? What am I? Where am I go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work identity change process between age groups."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 2013.3(2013): 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