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무열의(Job Engagement)의 선행요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이용수 818

영문명
An Empirical Study on the antecedents and results of Job Engagement: the mediating role of Job Engagement in the JD-R(job demand-resource) model
발행기관
한국인사조직학회
저자명
오아라(Ah-ra Oh) 박경규(Kyung-kyu Park)
간행물 정보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한국인사조직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0~40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0
5,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 기업의 생존과 발전은 구성원들의 창의적인 직무성과 제고를 위한 열의와 몰입을 증대시키기 위한 조직 관리의 질적인 향상을 통해 조직 및 인적자원의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혁신을 달성하는데 있다. 조직구성원들의 몰입이 감소하는 것과 저조한 성과와 관련된 문제들은 근본적으로 직원들이 열의가 없고 성취동기가 저하된데 있다. 기업이 조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직무열의를 증대시키기 위한 관리방안이 전략적 목표가 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조직성과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직무담당자의 직무열의를 증대시키기 위한 보다 심도 있는 이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JD-R(직무요구-자원)모형을 바탕으로 직무열의를 유발하는 직무 및 상황관련의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직무담당자의 직무열의가 이들의 직무 및 성과관련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는 동시에 직무열의의 선행요인(직무요구, 직무자원)과 직무담당자의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직무열의 매개역할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기업체의 팀장과 그 팀원을 쌍(dyad)으로 선정하여 324쌍을 수집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열의의 선행요인인 직무요구 중에서 양적요구는 직무열의와 역U형의 관계를, 직무자원 중에서 직무특성자원과 상사지원은 직무열의와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담당자가 지각하는 양적요구는 이들의 직무열의에 역U형의 형태로 동태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직무관련자원인 직무특성자원의 보유 정도와 직무수행상황에서 대인관계적인 자원인 상사지원의 지각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열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담당자의 직무열의는 직무 및 성과관련 행동인 혁신행동과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열의는 직무특성자원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고, 상사지원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는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직무담당자의 직무 및 수행상황 관련 특성이 이들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구성원 직무열의 증대를 위한 직무설계 및 관리 방안이 무엇인지 이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antecedent factor of job engagement, the effect of job engagement on innovation behavior. Also we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tecedent factor and innovation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1) job and job-related situational characteristics(quantitative demand, qualitative demand, job characteristics resource, supervisor support) are the antecedent factors of job engagement by identifying the factor that causes employees' job engagement; (2) employees' job engagement has an influence on their innovation behavior; (3) employees' job engagement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tecedents of job engagement and innovation behavio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employee and their supervisor paired(dyad) survey was perform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and the total of 648 surveys(324 Pairs) was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quantitative demand and job engagement were related to the reverse U-shaped. Also job characteristics resource and supervisor support as the antecedent of job engagement were positively related to job engagement. But the result of relationship between qualitative demand and employee job engagement wasn'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 higher perception of job characteristics resource and supervisor support in the workplace, the higher job engagement.; (2) employees' job engagement were shown to be positively correlated to their innovation behavior.; (3) employees' job engagement had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antecedent factors and their innovation behavior. That is employees' job engagement wa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resource and innovative behavior and wer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support and innovative behavior.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아라(Ah-ra Oh),박경규(Kyung-kyu Park). (2014).직무열의(Job Engagement)의 선행요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 2014 (1), 0-40

MLA

오아라(Ah-ra Oh),박경규(Kyung-kyu Park). "직무열의(Job Engagement)의 선행요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 2014.1(2014): 0-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