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 교사들의 창의력에 대한 신념과 창의적 수행

이용수 340

영문명
Creative Behavior and Belief of Creativity as Perceived by a Prospective Teacher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정미선(Jeong, Miseon)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2권 제2호, 1~18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5.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예비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창의력에 대한 신념을 확인하는 것이다. 창의적 신념은 창의력에 대한 암묵적 지식과 창의적 효능감을 포함하고 있다. 두 번째 목적은 창의적 효능감과 창의적 수행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구와 경북에 위치한 대학들에서 교직과목을 전공하는 학생들 160명이었고,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 4개의 개방형 질문과 창의적 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내용분석과 빈도분석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창의적 효능감과 창의적 행동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창의적 효능감 수준의 상위 25%와 하위 25%를 나누어서 이들의 창의적 과제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예비 교사들은 창의력을 독창성으로 확인하고 있었고, 그뿐만 아니라 창의력은 학습을 통해서 개발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예비 교사들의 창의적 효능감은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으며, 창의적 효능감 수준에 따라서 창의적 행동을 취하는 방법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창의적 효능감이 높은 집단은 프로젝트를 실제로 하기 전에 '사고전략'을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창의적 효능감이 낮은 집단은 '관찰과 모방'을 가장 높게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창의적 행동은 창의적 효능감의 기능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ospective students' perceptions of creativity, which includes their implicit knowledge of creativity and creative self-efficacy.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self-efficacy and actual creative behavior in the same research participants. The research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0 college students who majored in middle education from three different universities in Daegu and the greater Kyungpook area.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asked to answer four open questions and a questionnaire about their perceptions of creativity. For analysis of the answers, frequency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were used. The top 25% and lower 25% of research participants were distinguished in terms of their creative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ost prospective teachers perceived originality as the defining aspect of creativity. They recognized the need for and importance of creativity for efficient education. Secondly, many prospective teachers answered that they often use thinking skills as a way of achieving creative behavior. Thirdl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between the low creative self-efficacy and the high creative self-efficacy groups in terms of creative behavior.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creative behavior is a function of creative self-efficacy. Therefore, the target of education of creativity should be the creative self-efficacy of the prospective teachers. The concept of creativity should be taught as to include not only originality but also usefulnes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창의력에 대한 신념과 창의적 수행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미선(Jeong, Miseon). (2014).예비 교사들의 창의력에 대한 신념과 창의적 수행. 열린교육연구, 22 (2), 1-18

MLA

정미선(Jeong, Miseon). "예비 교사들의 창의력에 대한 신념과 창의적 수행." 열린교육연구, 22.2(2014): 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