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플라톤의 시민교육론에 관한 구조적 분석

이용수 478

영문명
Structural Analysis of Plato's Theory of Educating Citizens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저자명
성기산(Sung, Ki-San)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27권 제3호, 191~211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대 그리스인들은 착하고 아름다운 인간이라는 호메로스의 이상을 각 시대와 사회의 현실에 적합하게 재해석하는 이른바 아레테(arete)의 본질을 규명하는 데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었다. 호메로스 이래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와 시인, 그리고 소피스트들은 아레테의 의미를 밝히고 그것을 가르쳐서 사람들을 착하게 만드는 일에 큰 관심을 갖고 있었다. 그래서 그리스 고대 교육철학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아레테란 무엇이며, 그것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한 탐구라고 볼 수 있다. 아레테의 실현을 위한 노력은 그리스 고대의 수사학적 교육이론과 철학적인 교육이론으로 발전되었는데, 철학적인 교육이론을 완성한 인물은 플라톤이라고 볼 수 있다. 플라톤은 정의가 아레테의 핵심이며, 정의로운 국가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시민교육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그의 시민교육론은 인간의 영혼과 지식, 그리고 국가에 관한 자신의 제안을 근거로 하고 있다. 이런 제안의 논리적 구성물인 그의 시민교육론은 정의와 행복을 실현하는 중요한 수단이며, 이 과정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훌륭한 정치가를 기르는 일이었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플라톤이 제안한 시민교육론의 근거는 무엇인가를 구조적으로 분석해 보고, 왜 그런 시민교육을 해야 하는가를 살펴보고, 이런 교육의 과정을 통해서 산출되는 미래의 정치가는 어떤 사람이며, 어떤 의미가 있는가를 밝히는 작업을 하였다. 그가 제시한 시민교육론은 영혼과 지식의 특성에 관한 분석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것을 확장한 것이 정의로운 국가에 관한 그의 이론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을 중심으로 시민교육론의 이론적 근거인 인간의 영혼과 지식, 그리고 국가에 대한 플라톤의 제안은 무엇인가를 밝히고, 정의와 행복을 실현하기 위한 시민교육은 어떤 것이며, 시민교육의 결과로 산출되는 미래의 정치가는 어떤 의미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영문 초록

From the very start, Plato's thinking is aims at solving the problem of the state. The ultimate interest of his Republic is the human soul. He concludes that there are three parts of human soul, namely the appetites, the spirit, and reason. He is a builder of souls. Good actions are produced by reason. Reason produces harmony by initiating self-control. Knowledge of the Good is the basis for the new society as well as citizenry. He investigates the virtues of the human soul, and shows their union and perfection in justice. Justice is good in and of itself, not merely for its consequences. It would appear that justice was the ideal to which individuals and the state should aspire. It is not only a goal it is also a method of achieving true harmony in society. Happiness is seen as a form of harmony by Plato. The philosopher is to be a wise man and he is to know what is good. He can produce a healthy polis and a flourishing citizen body. Plato believes that a just social arrangement would concentrate on allocating social roles in society according to aptitude, and this is the basis of his society's arrangement and he claims to be promoting happiness. In order to secure the ideal of just and happy life which would in turn result in a harmonious group, each citizen must be guided into social occupation for which he was best suited. Plato understands that politics is a means to establish institutions that promote ethical development and happy lives for citizens. According to him only those capable of practicing justice will be able to recognize the injustices in the state, and act to eliminate them. Philosophical rulers should exercise their power for the good of citizens. No matter what a state does it neglects educating citizens it can never be improved. In short, Plato understands that the key to political health is to establish a proper education for all citizen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사회적 선을 위한 영혼과 지식, 그리고 국가에 관한 제안
Ⅲ. 정의와 행복의 실현을 위한 시민교육
Ⅳ. 교육받은 시민의 이상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기산(Sung, Ki-San). (2013).플라톤의 시민교육론에 관한 구조적 분석. 교육사상연구, 27 (3), 191-211

MLA

성기산(Sung, Ki-San). "플라톤의 시민교육론에 관한 구조적 분석." 교육사상연구, 27.3(2013): 191-2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