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8-30개월 말 늦은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음운 발달 비교

이용수 2255

영문명
Comparison of Phonological Development betwee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Late Talking Children Aged 18-30 Month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심혜림(Hyerim Sim) 하승희(Seunghee Ha)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19. no.1, 99~112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말 늦은 아동의 구별되는 두 가지 특성으로 제한된 어휘와 조음음운 능력이 있다. 현재 국내에는 우리나라 조음음운 체계에 따라 말 늦은 아동의 조음음운 발달 양상을 자세히 살펴본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18-30개월의 말 늦은 아동을 대상으로 조음음운 발달 특성을 일반 아동과 비교해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두 집단을 6개월 단위로 나눠 24개월의 생활연령을 기점으로 조음음운 발달 양상을 자세히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18-30개월의 말 늦은 아동 19명과 일반 아동 19명을 대상으로 조음음운 능력을 비교하였으며, 각 집단 내에서 24개월을 기점으로 세부집단을 나누어 월령 집단별 조음음운 발달 양상을 자세히 살폈다. 아동 가정에서 수집된 30분의 자발화를 바탕으로 총 발화수와 표현어휘수, 어절구조 유형, 발성 수준, 자음 산출률, 조음 위치 및 방법별 산출률을 살펴보았다. 결과: 말 늦은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적은 발화수와 표현어휘수, 낮은 발성 수준, 적은 자음 목록수, 제한된 어절구조 유형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음 유형과 관련하여서, 일반 아동은 구강 앞쪽과 뒤쪽에서 모두 다양하게 산출을 보인 반면에 말 늦은 아동은 구강 앞쪽에서 산출되는 전방음을 위주로 높은 산출을 보였다. 집단 내 월령 구분에 따른 세부집단 비교 시, 24개월 이상 말 늦은 아동 집단은 24개월 미만 집단보다 어절구조 유형수, 발성 수준, 경구개 파찰음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는 말 늦은 아동의 제한된 조음음운 능력을 살피는 것이 말 늦은 아동들을 조기에 선별하고 중재하는데 중요한 의의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wo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late talking children are reduced vocabulary size and delayed phonological skills. Few studies describe the phonological development status of late talking children by considering the Korean speech sound system.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honological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18 to 30-month-old late talking children as compared with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19 late talking children and 19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o investigate their phonological developments in more detail, each group was divided into two age groups who were 18-23 months and 24-30 months of age, respectively. Based on their 30-minute spontaneous speech samples, we examined the number of total utterances, number of different words, eojeol structure types, vocalization levels, consonant production ratio, and frequency ratio of consonants based on the place and manner of articulation. Results: Late talking children, as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showed fewer number of utterances and expressive vocabularies, lower vocalization levels, fewer number of consonant inventory and eojeol structure types. Regarding consonant types,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showed diverse speech production from the frontal and posterior parts of oral cavity whereas late talking children showed higher production of frontal sounds. The 24 to 30-month-old late talking children compared with 18 to 23-month-old late talking children display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s in vocalization levels, palatal affricate sounds and the number of different eojeol structure types. Conclus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we should examine their limited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abilities as well as the expressive vocabularies in late talking children in order to identify the children who need early speech-language interventions.

목차

Abstract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혜림(Hyerim Sim),하승희(Seunghee Ha). (2014).18-30개월 말 늦은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음운 발달 비교.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9 (1), 99-112

MLA

심혜림(Hyerim Sim),하승희(Seunghee Ha). "18-30개월 말 늦은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음운 발달 비교."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9.1(2014): 99-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