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 향상도에 따른 어휘발달 변인 종단연구

이용수 1110

영문명
A Longitudinal Study on Vocabulary Development Variables According to Expressive Vocabulary Progres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김정은(Jung Eun Kim) 김영태(Young Tae Kim) 오소정(So Jung Oh)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19. no.1, 60~70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표현어휘가 지체된 5-9세 다문화가정 아동 14명을 추적연구 하였고, 1년 후의 표현어휘 향상도에 따라 두 집단(표현어휘 정상수준 도달집단, 정상수준 미달집단)으로 나누어 표현어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어휘변인 및 환경변인의 차이와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수용 및 표현 어휘검사는 품사(동사 및 명사)별 정반응률을 포함하였고, 환경변인은 질문지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수용어휘력은 두 집단 모두 1차와 2차 평가 간 유의하게 높아졌으나,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품사별 정반응률은 명사 표현어휘 정반응률에서만 정상수준 도달집단이 미달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변인에서는, 정상수준 도달집단의 부모 교육 년수와 소득 수준이 미달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변인과 유의한 상관을 보인 변인들은 소득 수준과 부모의 교육 년수였으며, 어휘능력과 유의한 상관을 보인 변인들은 아동의 연령과 소득수준이었다. 논의 및 결론: 다문화가정 아동들은 수용어휘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도 표현어휘 사용에 어려움을 보일 수 있으며, 표현어휘가 지체되는 경우 명사어휘 사용이 제한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 다문화가정이라는 환경변인과 함께 사회경제적 변인은 표현어휘 발달에 중요한 변수이며, 다문화가정 내에서도 부모의 소득수준, 교육정도에 따라 아동의 언어지원이 개별적으로 계획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ortant variables of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4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ged between 5 and 9 years. Based on the reassessment result,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two: one group caught up with their normal peers while the other group continued to show signs of expressive vocabulary delay.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scores, including nouns and verbs, and a questionnaire regarding the child's living environment we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with regard to receptive vocabulary abilit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initial assessment and reassessment in each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groups in receptive vocabulary ability. For expressive noun accurac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groups in the reassessment; the catch-up group showed higher parent's level of education and income level than the non-catch-up group; there were als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groups in income level, and that between parent's level of educatio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 showed limited use of expressive vocabulary even with their good skills in receptive vocabulary. Overall the children with delayed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are likely to have trouble using expressive nouns. Even with a similar home background (multicultural families), socioeconomic status is still an important variable in vocabulary development. Additionally, language support appears to reflect the parent's income level and their level of education.

목차

Abstract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은(Jung Eun Kim),김영태(Young Tae Kim),오소정(So Jung Oh). (2014).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 향상도에 따른 어휘발달 변인 종단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9 (1), 60-70

MLA

김정은(Jung Eun Kim),김영태(Young Tae Kim),오소정(So Jung Oh).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 향상도에 따른 어휘발달 변인 종단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9.1(2014): 60-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