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3학년 학령기 아동의 형태소인식과 읽기능력

이용수 2311

영문명
Morph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Ability of School-Aged Children from Grades 1 to 3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정경희(Kyung-Hee Jung)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19. no.1, 21~30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형태소인식은 의미의 기본단위를 인식하고 의식적으로 그 구조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다. 최근 형태소인식이 음운해독 및 읽기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가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읽기와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형태소인식과 읽기능력을 살펴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해독 및 읽기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서 형태소인식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초등학교 1-3학년 학생 48명을 대상으로 수용어휘, 음운인식, 빠른이름대기, 음운기억, 단기 및 작업기억, 음운해독, 읽기 유창성, 읽기이해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음운해독과 읽기이해능력에 대한 형태소인식의 예측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소인식이 빠른이름대기를 제외한 모든 변인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형태소인식과 읽기이해 간의 상관계수가 가장 높았다. 둘째, 형태소인식이 음운해독과 읽기이해능력에 대해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영어권에서와 같이 우리나라 학령기 아동의 경우도 형태소인식능력이 읽기학습의 평가 및 중재에서 중요한 변인으로서 고려되어야 한다는 임상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결과의 요약 형태소인식의 임상적 의의,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 등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Morphological awareness is the ability to recognize the semantic units and manipulate their structures. In recent years, a growing number of researches suggest that morphological awareness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word rea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s.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on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reading ability, studies on the relations of morph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ability are limited to the Korean languag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rphological awareness on the deco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of school-aged children from grades 1 to 3. Methods: A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factors of receptive vocabulary, phonological awareness, rapid automatized naming, phonological memory, short-term and working memory, morphological awareness, reading fluency, deco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was conducted among 48 elementary students from grades 1 to 3. The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predictive factors for deco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outcom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orphological awareness and all other variables except for rapid automatized naming. The strongest correlation between morph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was observed. Second,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morphological awareness w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the deco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Conclusio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morphological awareness wa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f improving reading ability which wa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in the English literature. Clinical implications of morphological awareness and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also discussed.

목차

Abstract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경희(Kyung-Hee Jung). (2014).1-3학년 학령기 아동의 형태소인식과 읽기능력.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9 (1), 21-30

MLA

정경희(Kyung-Hee Jung). "1-3학년 학령기 아동의 형태소인식과 읽기능력."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9.1(2014): 21-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