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랩을 위한 시론
이용수 481
- 영문명
- Poetics of Rap: A Crossroad in the Culture War
- 발행기관
-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최성희(Sung Hee Choi)
- 간행물 정보
- 『영미문학교육』영미문학교육 제17집 2호, 177~209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background of the so-called "culture war" of academia is the collision between the traditional literary studies and anti-traditional cultural studies. On the one hand, the old school offers impassioned defenses of the notion of humanism as a foundation of (western) literature; on the other hand, a new generation of scholars contends that the current crisis of humanities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failure of the humanism. This argument leads into related critical issues concerning the future of education in English Literature. In this article I attempt a tentative essay that claims rap as poetry and drama and therefore as an integral part of contemporary literary education. Starting as an emotional outlet for urban underclass black youth to express their frustrations, rap music is now a worldwide cultural phenomenon that evokes passionate responses. Given the genre's cross-over popularity and success in the global market, its impact on youth culture is growing. Prompted by the lack of discussion over rap's aesthetic potentials among educators/scholars of English studies, this essay intends to initiate such discussion by adumbrating a poetics of rap in comparison with and contrast to traditional poetry and drama. As a conclusion, I suggest rap to be a 21st century's compound genre of literature that could end "culture war" with its various forms of "remix" and effectively enhance students' multiple literacies which is critical in this multicultural and multimedia world.
목차
Ⅰ. 서론
Ⅱ. 문예연구와 문화연구의 접점 찾기-랩의 대중성과 예술성
Ⅲ. 랩은 우리 시대의 시인가? 랩의 포스트모던 시학
Ⅳ. 사례 소개: <더 메시지>(The Message), <레이디스 퍼스트>(Ladies First), <토킹 올 댓 재즈>(Talkin' All That Jazz)
Ⅴ. 랩과 드라마-힙합연극
Ⅵ. 결론-문학교육과 문화교육의 리믹스
인용문헌
Appendix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EFL Students’ Perceptions of ChatGPT Feedback in IELTS Opinion Essays
- 영화 활용을 통한 제2언어 학습에서 맥락의 역할에 대한 연구: 원어민과 유사한 선택과 형태-의미 짝짓기를 기준으로
-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수업을 통한 EFL 여대생들의 어휘력과 자아 이미지 향상 연구: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