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한 혁명가극의 방창(傍唱)에 관한 연구

이용수 117

영문명
A Study on North Korean Revolution Opera’s Bangchang
발행기관
한국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김정환(Kim, Jung-Hwan)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콘텐츠』5호, 91~12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북한의 대표적 음악극인 혁명가극의 독특한 공연양식인 ‘방창’을 연구하여 남한의 대중적인 음악극인 뮤지컬에 활용 가능성에 대해 전망을 해 본다. 북한의 혁명가극의 출발점은 해방 전, 판소리를 극화한 창극이다. 또한 서양에서 들어온 오페라가 한축을 담당한다. 북한에서는 민족적 형식과 현대성이라는 목표 아래, 창극과 오페라를 주체적으로 선택, 개발하여 1970년대 초에 〈피바다〉식 혁명 가극을 만들게 된다. 민족적 형식과 현대성 구현이라는 목표 아래 만들어진 혁명가극에는 노래의 절가화, 방창의 도입, 배합관현악 도입, 무용의 도입, 흐름식입체무대 개발 등의 독특함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절가와 방창 그리고 배합관현악은 민족적 형식을 구현한 양식이다. 혁명가극에는 ‘방창’이라는 양식이 있다. 방창은 제3자적 서술기능으로 무대밖에서 합창단에 의해 불리어지는 노래이다. 방창은 작품의 해설자로 무대인물, 관객, 작가의 대변자와 평가자 역할을 하면서 무대와 객석사이를 자유로이 소통하며 작품에 참여한다. 방창은 공연에서 등장인물의 내면세계 부각, 극 정황 제시ㆍ설명과 극의 전개ㆍ발전, 음악과 극의 조화로운 결합을 통한 연기의 진실성 확보, 무대생활의 지속적 전개, 관객들의 심리대변과 몰입 등의 기능과 역할을 한다. 제3자적 서술기능은 작품의 서사를 확보할 뿐만 아니라 작품에 여러 가지 형상수단으로 쓰인다. 현대 뮤지컬에 방창을 활용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먼저 무대 밖에서 불리어지는 방창 양식을 그대로 적용해보는 것이다. 역사물 같은 서사극에는 방창의 내용과 형식을 그대로 활용해보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뮤지컬의 기본 형태를 살리면서 방창의 기능과 역할을 접목해 보는 방식도 있다. 무대 밖에서 나오는 방창은 장면전환과 극의 흐름을 이어주는 역할로 배치하고, 무대 위에서는 코러스와 등장인물들에게 그 역할을 주는 것이다. 방식은 코러스가 독자 방창을 하는 것과 인물과 코러스가 교감하는 방식이 있다. 뮤지컬에서는 무대 위 인물들이 노래를 다 소화하기 때문에 3자적인 서술방식을 할 때 곤란함이 있다. 이 역할을 코러스가 담당하는 것이다. 즉 코러스가 작품의 정황 제시는 물론 주인공의 입장, 상대방의 입장, 군중의 입장, 관객의 입장 등을 자유롭게 대변해 주는 것이다. 음악극 공연에 방창 형식은 알게 모르게 많이 쓰고 있다. 방창은 무대적 제한성을 극복해 주는 효과가 있다. 연구를 통해 ‘방창’의 뮤지컬 활용 가능성에 대해 전망을 해 보았다. 북한 혁명가극의 독특한 양식인 ‘방창’의 목적의식적인 활용을 통하여 남북문화의 상호 이해 및 동질성 확대와 더불어 우리의 음악극 발전에 미약하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Bangchang’ of North Korea’s Revolution Opera, a unique performance modality of North Korea’s representative opera, and then present its use strategy in the South Korean musical, a popular musical drama. The start point of North Korea’s Revolution Opera can be traced back to Changgeuk (Korean traditional opera) which dramatizes Pansori before the liberation of Korea. And the Western opera plays a part in North Korea’s Revolution Opera. Aiming to national formality and modernity, North Korea adopted Changgeuk and opera subjectively and then developed 〈Pibada〉 style revolution operas in the 1970s. In the Revolution Opera which was made for the realization of national formality and modernity, there are such unique characteristics as passage-type songs (Jeolgahwa), the introduction of the third party songs (Bangchang), the introduction of combined orchestral music, the introduction of dance, and the adoption of three-dimensional moving stage. In particular, Jeolga, Bangchang and combined orchestral music are the realization of national formality. There is the modality of Bangchang in the Revolution Opera. Bangchang is narrated by the third party and it is a song sung by a chorus from the outside of the stage. Bangchang plays the role of an opera commentator and a spokesperson and appraiser of characters, audience and musicians, thus freely communicating with the stage and the seats and taking part in the performance. In the performance, Bangchang functions as highlighting characters’ inner world, presenting and explaining the situation of opera, developing the opera, securing the actuality of the opera through combining music and drama, continuously developing the life on the stage, speaking for audience’s psychology and making audience immerse in the performance. This third party function of narration ensures the description of opera and is used as various means of shaping the performance. There seem to be many ways to utilize Bangchang in the modern musical. First, it is possible to apply the modality of Bangchang as it is sung in the outside of the stage to the modern musica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pply the content and form of Bangchang as it is to a historical drama, namely an epic drama.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he function and role of Bangchang to the musical of which basic pattern is untouched. The Bangchang which comes from the outside of the stage can be placed as the role of connecting the flow of the drama. And on the stage the role is carried out by chorus and characters. Its application method can be chorus’ individual Bangchang or mutually responsive Bangchang between chorus and characters. In a musical, characters on the stage sing all the songs. Therefore, the third party narrative method is problematic for a musical. So this role is carried out by chorus. In other words, chorus not only presents the situation of performance but also freely speaks for the standpoint of leading character, the other party, the masses and audience. A music drama performance unconsciously uses a Bangchang form many. Bangchang has the effect of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stage. Research leads, ‘Bangchang’ Tried to view about justice musical application possibility. Goal of ‘Bangchang which are a form which North Korean Revolution Opera is unique’ the application which is conscious leads and trade name gain and loss and homogeneous mag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culture and joins in and feebleness is in our musical pole development and the help becoming confronts see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북한 혁명가극의 역사와 양식적 특징
Ⅲ. 혁명가극에 있어서 방창의 역할
Ⅳ. 타 공연양식의 비교 및 활용 가능성 전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환(Kim, Jung-Hwan). (2010).북한 혁명가극의 방창(傍唱)에 관한 연구. 문화예술콘텐츠, (5), 91-120

MLA

김정환(Kim, Jung-Hwan). "북한 혁명가극의 방창(傍唱)에 관한 연구." 문화예술콘텐츠, .5(2010): 91-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