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련결사 보현도량의 의미에 관한 고찰

이용수 271

영문명
A study on meaning of the practicing site of Samantabhadra(普賢道場) in the practice community of White Lotus(白蓮結社)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오지연(Oh, ji-yeon)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33호, 311~34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백련결사와 정혜결사는 한국불교사에서 대표적인 두 결사이다. 정혜결사의 뜻은 간화(看話)의 선맥을 통해서 지금까지도 계승되어 오고 있지만, 법화예참도량이었던 백련결사의 취지는 오늘날 찾아보기가 힘들다. 원묘의 비문에서는,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래된 이래로 보현도량을 열어서 널리 선관[禪]과 송경[誦]을 행하도록 권한 것은 처음이었다고 한다. 백련사의 보현도량은 근본적으로 법화 일불승(一佛乘)의 뜻을 천명하며 그것을 실현하고자 한 도량이었다. 그것을 네 측면으로 말하면, 삼승의 가르침들을 묘법(妙法)으로 회통해내는 교일(敎一), 송경(誦經)과 선정 등의 여러 수행법들이 모두 한결같이 성불도(成佛道)라고 하는 행일(行一), 모든 사람이 신분차이나 남녀노소에 관계없이 모두 부처와 다름없다고 인식하는 인일(人一), 사(事)법과 이(理)법이 둘이 아니라고 깨닫는 이일(理一) 등의 네 가지 일승[四一]을 그대로 실현하고자 한 도량이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re have been two famous and important Buddhist practice communities in Korean dynasties, one was the practice community of the Meditation and wisdom (定慧結社) by Ji-nul (知訥), the other was the practice community of White Lotus (白蓮結社) by Yo-sae (了世). Even if the point of the former still exists through Koan meditation, the purpose of the latter which was the gathering of the repentance method of the Lotus Samadhi would be hard to find these days. The epitaph of Yo-sae, the first president of the community of White Lotus, says: ‘It was the first time to recommend dhyāna-contemplation (禪觀) and reciting sūtras (誦經) to the public through opening the practicing site of Samantabhadra since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n Korea.’ In essence, the community of White Lotus was the meeting to clarify and actualize the essential of the One Vehicle in Lotus sutra. Again in four aspects, the four ones [四一]: the first, to unite the three other teachings in one subtle dharma is called ‘the teaching of one vehicle (敎一)’, the second, including many other practices like recitation or meditation are one and the same way to the ultimate enlightenment called ‘the sole Buddha procedure (行一)’, the third, the thinking that everybody regardless of sex, age or class is none other than Buddha is called ‘men all and only as Buddha (人一)’, the fourth, the understanding that Noumenon and phenomena are non-dual is called ‘one ultimate truth of the reality of all existence (理一)’.

목차

요약문
Ⅰ. 머리말
Ⅱ. 보현도량 개설 취지
Ⅲ. 보현도량의 내용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지연(Oh, ji-yeon). (2012).백련결사 보현도량의 의미에 관한 고찰. 불교학연구, (33), 311-345

MLA

오지연(Oh, ji-yeon). "백련결사 보현도량의 의미에 관한 고찰." 불교학연구, .33(2012): 311-3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