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대 팽소승(彭紹升)의 화엄염불론과 법신설

이용수 147

영문명
Huayan Pure Land Theory and the Theory of Dharma–body by Peng Shaosheng During the Qing Dynasty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김영진(Kim, Young-jin)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33호, 77~119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불교에서 정토법문은 다른 불교 전통들과 활발히 교류하고 결합한다. 이런 교류와 결합을 통해서 새로운 이론과 전통이 출현하기도 한다. 다른 시대에 비해 불교 연구가 미약하다고 평가되는 청대(淸代)에 정토법문만은 크게 발전한다. 팽소승같은 거사는 정토법문과 화엄사상의 관련에 주목하고, 두 전통의 연대를 모색한다. 그는 『화엄경』이 정토법문을 지향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이때 팽소승은 화엄학에서 중요하게 등장하는 법신 개념을 응용한다. 그는 정토법문에서 주로 거론하는 아미타불이 아니라 법신불인 비로자나불을 주된 염불수행의 대상으로 삼는다. 아울러 염불수행을 통해서 지향하는 것은 아미타불이 있는 서방극락이 아니라 비로자나불이 언제나 존재하는 법계 혹은 화장세계임을 말한다. 이는 극락왕생의 공간을 미래의 다른 세계가 아니라 현재의 이 세계로 돌려놓는 역할을 했다.

영문 초록

In Chinese Buddhism, the Pure Land teachings actively interacted and were integrated with other Buddhist traditions. At times, new theories and traditions emerge through these exchanges and integrations. During the Qing dynasty, a period in which Buddhism was viewed as relatively weak compared to other historical periods in China, the Pure Land teachings managed to develop substantially. Peng Shaosheng, a householder and scholar of Buddhism of Qing Dynasty, paid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re Land teachings and the philosophy of the Huayan School and sought solidarity between the two traditions. He argued that the Huayan Jing, meaning the Flower-adorned Sutra, is oriented toward Pure Land teachings. In so doing, he employed the concept of Dharma-body that emerged prominently in the Huayan School. In lieu of Amitabha that was often brought up in Pure Land Buddhism, he used Vairocana as the object of Buddhist recitation practice. Also, he said that the goal of the Buddhist recitation practice was not to reach the Pure Land in which Amitabha resided, but the Dharmadhatu or the Lotus Treasury World in which Vairocana always existed. This line of thought played the role of seeking the space of peace and happiness not in the other world that exists in the future, but in this world of the present.

목차

요약문
Ⅰ. 머리말
Ⅱ. 팽소승과 명말 정토법문
Ⅲ. 화엄염불론과 보현행원
Ⅳ. 법신염불과 법계정토의 구상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진(Kim, Young-jin). (2012).청대 팽소승(彭紹升)의 화엄염불론과 법신설. 불교학연구, (33), 77-119

MLA

김영진(Kim, Young-jin). "청대 팽소승(彭紹升)의 화엄염불론과 법신설." 불교학연구, .33(2012): 77-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