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상현실기반 근전도 유발 기능적 전기자극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근 긴장도 및 보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687

영문명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Based with EMG Triggered-Functional Electric Stimulation on Muscle Tone and Gait Capability in Stroke
발행기관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저자명
이병희(Lee, Byoung Hee) 정은정(Chung, Eun Jung) 이수현(Lee, Su Hyun)
간행물 정보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6권 제3호, 361~37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9.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상현실기반 근전도 유발 기능적 전기자극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발목 근긴장도, 균형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총 10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가상현실기반 근전도 유발 기능적 전기자극훈련군 5명(평균 58.4세)와 기능적 전기자극 훈련군 5명(평균 57.8세)으로 나누었다. 4주 후에 운동 전과 운동 후의 근긴장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근긴 장도검사기로 외측비복근과 내측비복근을 측정하였고, 균형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눈 뜬 상태와 눈 감은 상태에서의 좌우 자세동요거리와 95%안에서의 자세동요면적을 측정하였으며, 보행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간적 보행변수인 보행속도, 분속수, 공간적 보행변수인 보장, 단하지지 지율, 양하지지지율 등을 측정하였다. 집단 내 전후 차이 비교는 Wilcoxon 검정을 사용하였고, 집단 간 훈련 전후의 차이 비교는 Mann-whitney 검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비복근의 긴장도는 유의하게 증가되지는 않았으나 대조군 보다 많은 증가를 보였다. 둘째, 균형능력에서 눈뜨고 좌우 자세동요거리와 95%안에서의 자세동요면적 측정 시 실험군과 대조군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보행능력에서는 보행속도, 분속수, 양하지 지지율 측정시 실험군과 대조군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가상현실기반 근전도 유발기능적 전기자극훈련은 뇌졸중환자의 경직 감소, 균형 및 보행능력 향상 뿐 아니라 시각적 피드백 제공, 능동저항운동 유도 등을 통한 선택적, 분리 운동 및 기능적 활동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운동방법임으로 임상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뇌졸중 환자에게 치료 방식의 다양성을 제공하기 위해 가상현실기반 근전도 유발 기능적 전기자극 훈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effects of VR-based with EMG triggered functional electric stimulation (FES) in stroke rehabilitation. 10 subjects who were in the chronic phase following strok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ffected ankle dorsiflex training with EMG-triggered FES under the VR environment (Experimental group, n=5), Affected ankle dorsiflex training with FES (Control group, n=5). Experimental subjects received ankle dorsiflex training with EMG-triggered FES for 20 minutes per day, 5 times per week over a 4 week period under the VR based reality. And control subjects received FES for the same time. Muscle tension, Balance, and Gait patterns are closely measured to identify the effect of VR training environment with EMG-triggered FES. In a balance, the level of eye open ML Sway Lengt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an before intervention within experimental group (P<.05) and that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an experimental group than in a control group (p<.05). For gate assessment, the level of velocity, cadence, and double support percentag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an before intervention within experimental group (p<.05) and those were meaningfully improved in a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05). These study outcomes clearly support the notion that incorporating a VR environment into ankle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based with EMG-triggered FES have effectiveness on balance and gait capability of stroke patient’s.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병희(Lee, Byoung Hee),정은정(Chung, Eun Jung),이수현(Lee, Su Hyun). (2012).가상현실기반 근전도 유발 기능적 전기자극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근 긴장도 및 보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재활복지, 16 (3), 361-378

MLA

이병희(Lee, Byoung Hee),정은정(Chung, Eun Jung),이수현(Lee, Su Hyun). "가상현실기반 근전도 유발 기능적 전기자극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근 긴장도 및 보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재활복지, 16.3(2012): 361-3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