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진성이씨 이동표가의 언간 현황과 서체적 특징

이용수 236

영문명
Calligraphic Features of Lee Dong-pyo Family's Korean Letters, the Lee Family from JinSeong-Focused o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Lee Dong-pyo to his Mother and his Father's Concubine-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정복동(Jeong, Bok-dong)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21호, 189~21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9.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17세기 후반 숙종 시기의 문신인 나은 李東標(1644(인조22)-1700(숙종 26))가의 언간 서체를 통해 그의 언간 서체와 언간의 문장 구성 형식을 고찰하였다. 이동표가의 언간은 총 37건으로 그의 어머니에게 보낸 언간이 주를 이루며, 삼촌 이명익의 언간이 1건 있다. 필사된 시기는 1644-1700년이다. 언간에는 당시의 생활상과 과거제도에 관한 자료, 친모와 서모에 대한 상대경어법 사용의 차이점, 수신자에 따라 각각 다른 감성으로 표현한 서풍 등이 담겨있어서 언간의 형식뿐만 아니라 국어사·문화사 및 서예사 자료로도 그 가치가 높다. 언간의 형식은 언간을 받는 대상에 대한 경의를 나타내기 위하여 대두법을 적용하였다. 친모에게 쓴 언간은 이항식과 極行式으로 경의와 존경을 나타냈으며, 서모에게 쓴 언간은 隔間法의 차별화된 대두법이 적용되었다. 그러므로 친모와 서모에게 쓴 언간 두 편을 주 대상으로 삼아 언간의 문장 구성형식과 문자의 구조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아울러 동일한 연결문자를 비교하여 시대적으로 서체가 변화된 특징을 파악하였다. 두 언간을 중심으로 문자의 구조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단일문자의 자모는 두 언간 모두 대부분 가획으로 연속성을 드러낸 흘림체로 규정하였다. 특히 2-5음절 어절의 연결문자를 분석한 결과 친모에게 보낸 언간보다 서모에게 보낸 언간의 연결 정도가 30%가량 많으며, 서모에게 보낸 언간의 연결정도는 거의 80%나 된다. 이는 친모에 대한 존경하는 마음이 心手相應된 것으로 보인다. 초중성 합자와 초중종성 합자의 구조에서 서체의 특징은 서모에게 보낸 언간이 친모에게 보낸 언간보다 원필세가 많은 斜形 결구이며, 친모의 언간이 平形 결구로서 古雅한 意取를 보인다. 또한 「훈민정음해례본」의 점획이 모음 ‘ㅜ’에 나타나고, 종성 ‘ㄹ’을 일필서로 직선화하였으며, 횡모음을 짧게 절제하여 결자 한 것 등은 한자 행초서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한글 서체의 형성이 한자의 필의와 무관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동일한 어절의 연결된 문자를 비교 분석한 결과 1670년대보다 1680년대 이후의 서풍이 더욱 맑고 견강하게 정제되었다. 이동표의 독창적인 한글 흘림체는 17세기 후반 사대부가에 유행한 행초서의 연면체 서풍에서 어느 정도 영향을 받았고, 선조들로부터 계승되어온 가풍과 학풍을 연마하여 자신만의 淸勁高逸한 한글서체를 완성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한글서예사에서 18세기 이후 완성될 궁체와 추사체 형성을 예견할 수 있는 서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are treated the type of Korean letters and how to build their sentence from the family of Naeun Lee Dong-pyo (李東標; 1644 (the 22nd year of King Injo government)-1700 (the 26th year of King Sukjong government)) who served as a civil minister in the late 17th century of Chosun Dynasty. The total number of Lee Dong-pyo family's letters is 37, most of which were written by Lee Dong-pyo to his mother and one by his uncle Lee Myeong-ik. These letters are assumed to be written during 1644-1700. From the Korean letters, we could find the living conditions at that time, the documents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the use of different honorific expressions for his mother and his father's concubine, and various styles of calligraphy, which are all highly valued as references for studying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culture and calligraphy. In the form of the Korean letters, Daedu (leaving a blank before the name of a receiver in order to show the sender's respect for the receiver) is applied, and this method is differently used between the letters for his mother (placing a first letter on the top line of the next sentence to show respect) and the letters for his father's concubine (leaving one or two blank before letter to show respect). Two Korean letters received by his mother and his father's concubine are mainly selected for analysis of the formality of making sentences and the structure of characters. Along with it, connected characters are compared to understand the change of the style of handwriting over time.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two Korean letters for the structure of characters shows that the Korean alphabet of a single letter uses Heullim style, which has the continuity of creating a new letter by adding stroke in both of them. In particular, from the analysis of connected letters of 2-5 syllables, it could be found that the degree of connectivity of Korean letters sent to his father's concubine is about 30% higher than for his mother, and in total the degree is up to 80% for his father's concubine, which seems that more respect for his mother is naturally expressed through mind drawing. In the calligraphic features of a letter combined by initial consonant and vowel and one of initial consonant, vowel and final consonant, the Korean letters to his father's concubine show more tilt type, compared with those for his mother, while the Korean letters for his mother revealing some elegance. In addition, all the dots and strokes in HunMinJeongEumHaeRyeBon are expressed at the vowel ‘ㅜ’, and the final consonant ‘ㄹ’ is expressed as the form of straight line and horizontal vowels are intentionally shortened, which all indicates the formality of the Korean letters is influenced by the Chinese Haengseo and Choseo calligraphic styles. And the analysis of connected letters of the same Eojeol (generally a word) shows that his calligraphic style of the late 1680 has something clearer, stronger and more refined than that in 1670. Lee Dong-pyo's peculiar Hangul Heullim style is a little affected by Yeonmyeon style which was popular among Confucian scholars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he learned hard his family tradition and academic one and made his own Hangul style. This may be a precursor of Gung style and Chusa style which both will be completed in the late 18th century.

목차

<논문요약>
Ⅰ. 머리말
Ⅱ. 이동표 언간 서체의 형성 배경과 현황
Ⅲ. 언간의 문장 구성 형식과 필사 표시
Ⅳ. 이동표 언간의 문자 구조
Ⅴ. 맺음말
<참고문헌>
< 도록 및 자료집 >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복동(Jeong, Bok-dong). (2012).진성이씨 이동표가의 언간 현황과 서체적 특징. 서예학연구, (21), 189-213

MLA

정복동(Jeong, Bok-dong). "진성이씨 이동표가의 언간 현황과 서체적 특징." 서예학연구, .21(2012): 189-2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