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題畵詩文을 통한 고려 회화의 詩畵一致觀 연구

이용수 362

영문명
A Study on Correspondence between Literature and Paintings of Goryeo Epoch through Poetry and Prose written on Paintings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김대원(Kim Dae-won)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21호, 79~11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9.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시와 그림은 각각 다른 종류의 예술이다. 시는 시간 속에서 음향과 언어를 부호로 사용하므로 언어예술인 시간예술에 속하며, 그림은 조형예술인 공간예술에 속한다. 즉 시는 눈에 보이는 여러 부분이 시간에 의해 계속해서 따라올 수 있지만, 그림은 눈에 보이지만 움직이지 않는다. 이렇게 시와 그림은 상호 보족적 관계가 필요하고, 이렇게 상호 보완적 역할 때문에 둘의 관계를 ‘文藝相須’라고 한다. 이러한 문예상수와 같은 시화일치사상이 고려시대에 본격적으로 나타난 것은 宋詩風의 유행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송시 유행의 중심이 되었던 蘇軾은 일찍이‘詩中有畵, 畵中有詩.’라고 한 것처럼 예술상 서로 통하는 규율과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시와 그림은 서로 통한다는 특성을 소식이 천명함에 따라 고려시대의 문인사 대부들도 문인화에 주의하기 시작했다. 아울러 소식의 문풍이 유행하게 되고 소식의 화론이 유입되면서 제화시문이 더욱 성행하게 되었는데, 이는 비평문학의 흥성과도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이러한‘시화일치’의 사상은 고려시대 회화와 시에 있어서, 각자는 서로의 장점을 창작에 응용하기도 하면서 상호 보완적 관계를 가지기도 하면서, 아울러 회화의 비평에 있어서도 하나의 기준점이 되었다. 한편 고려시대 초상화와 풍속화에 사용된 讚을 통해서도 ‘시화일치’의 사상을 접할 수 있는데, 이는 그림에 찬을 붙여 讀畵의 이해도를 높임으로써 이를 통하여 그림의 鑑戒性과 敎訓性을 극대화하기 위한 수단이었다. 고려시대는 문인들의 글에 산재된 회화관을 살펴보면 ‘美術’이라는 현대적 어휘의 개념과는 전혀 다른 도덕적이면서 형이상학적인 어휘가 주로 사용되었다. 게다가 회화의 가치관은 詩畵一致와 精神表現을 강조하는 文人畵論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었으므로 이를 통해 당시의 회화사상을 분석하여 화론의 체계로 규명할 필요가 있는데, 그러한 것들을 종합하여 표현하자면 比德性 文人畵와 水墨畵의 盛行으로 요약할 수 있다. 실로 고려 중엽부터 말기에 이르기까지는 佛敎를 배척하는 기운이 돌기 시작하고 儒學이 차차 성행하기 시작하였다. 당시의 유학자들은 한가한 정서와 교양, 그리고 청빈한 생활을 감수하면서도 글이나 쓰고 시나 읊으면서 필묵을 가까이 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향으로 인하여 고려의 유학자들에 의하여 문인화가 차차 이해되기 시작했다. 문인화는 유교의 기본바탕인 君子精神이 내재해서 이규보는 墨竹을 ‘君子畵’라 하였고, 후대의 尹斗緖는 문인화를 일명 ‘儒畵’라 부르기도 했던 것이다.

영문 초록

Poetry and paintings are both forms of art of different kind. Poetry being art of language belongs to arts based on tempo which use sounds and signs of language within time; on the other hand paintings belong to space arts. Namely, poetry can constantly catch up different visible parts according to the time, and paintings can be seen, but do not move. That is why poetry and paintings do need mutually complementary relation, and such relation is called 'mutual necessity in literature'. The appearance of such mutual necessity in literature and ideology of correspondence between poetry and paintings in full-scale during Goryeo epoch is closely related to popularity of Song dynasty poetry. The most popular artist of Song dynasty, Su Shi was following mutually accepted rules and regulations while creating his pieces of art according to the rule of early times: "Painting within poetry and poetry within painting". The point that poetry and paintings should mutually match was clarified by Su Shi, and therefore it can be noticed in Goryeo epoch literary noblemen's paintings in literary artist's style. Consequently, while Su Shi's literary style became more and more popular and his theory was introduced in Korea, poetry and prose written on paintings became even more prevalent, that is closely related to prosperity of literary criticism, too. Such ideology of correspondence between literature and paintings can be noticed in the paintings from Goryeo epoch when advantages of both literature and paintings were applied while composing the piece of art and complementary relations were maintained. Consequently, it became one of criteria to evaluate paintings. On one hand, ideology of correspondence between poetry and paintings can be approached through panegyric used in portraits and genre paintings of Goryeo epoch. Panegyric attached to the paintings was used to heighten the appreciation of painting, thus it was the means to maximize the moral and ethical values of paintings. After examining literary men's writings scattered on paintings of Goryeo epoch, it can be noticed that ethical and metaphysical vocabulary was used and it is totally different from modern conception of art. Moreover, the values of paintings formed literary men's theory which emphasized correspondence between paintings and literature and expression of consciousness. After analyzing paintings ideology of that time through such values, the necessity to search for theoretical system can be noticed. It can be summarized as prevalence of ink-and-wash paintings and comparative moral paintings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Actually, the tendency to reject Buddhism started in the middle of Goryeo epoch and lasted till the end of it, and Confucianism was gradually prevailing. Confucian scholars of that time kept pen and ink next to them for writing texts and composing poems even enjoying free emotions and education, poor but honest life-style. Due to such trends paintings in literary artists' style were gradually understood by Confucian scholars of Goryeo epoch. Paintings in literary artists' style were inhered by spirit of man of virtue what is foundation of Confucianism. China-ink paintings that depict bamboo were called 'paintings of man of virtue' by Lee Gyu-bo, and paintings in literary artist's style were called 'Confucian paintings' by Yun Du-seo from latter epoch.

목차

<논문요약>
Ⅰ. 序論
Ⅱ. 崇蘇熱風과 題畵詩文의 興起
Ⅲ. 鑑戒性 肖像畵와 風俗畵의 發達
Ⅳ. 比德性 文人畵와 水墨畵의 盛行
Ⅴ.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대원(Kim Dae-won). (2012).題畵詩文을 통한 고려 회화의 詩畵一致觀 연구. 서예학연구, (21), 79-112

MLA

김대원(Kim Dae-won). "題畵詩文을 통한 고려 회화의 詩畵一致觀 연구." 서예학연구, .21(2012): 79-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