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산지역의 마을만들기 유형과 특성

이용수 1250

영문명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Maul-mandulgi in Busan Focusing on ‘Salgosipeun-dosimandeulgi Pilot city project’
발행기관
지역사회학회
저자명
김태란(KIM Tae-Ran) 인태정(IN Tae-Jeong)
간행물 정보
『지역사회학』지역사회학 제11권 제1호, 145~16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2.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정부에서 추진된 ‘살고싶은 도시만들기’ 시범마을은 2005년부터 주민과 지자체 주도로 삶의 질과 도시공간의 질을 개선하고 살고 싶은 도시를 조성하자는 취지로 시행되었다. 이러한 시범마을이 실제로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시범마을의 선정과정과 문제점들을 검토하고 부산지역에서 ‘살고싶은 도시만들기’가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의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마을만들기’의 주체와 사업내용에 따라 세 가지 대표적인 유형으로 분류하고 그 특성들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한계를 지적하고자 한다. 그 세가지 유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행정주도형으로 대표적인 사례가 반송 2동이다. 소프트웨어 사업보다는 물리적 사업에 중점을 두었고 결국 주민주도의 마을만들기보다는 관주도의 사업형태로 진행되었다. 두 번째는 시민단체 혹은 전문가 주도형으로 대표적인 사례는 산성마을이다. 이러한 유형은 소프트웨어적 사업을 중심으로 진행하려 하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주민들의 비협조와 반발로 인해 여러 차례 시행착오를 겪어야만 했으며 결국 처음의 사업계획과는 다른 물리적 사업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세번째는 주민주도형으로 물만골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사업계획에 따라 사업진행은 이루어졌으나 행정과의 갈등, 전문가와의 연계부족으로 실무적인 사업을 진행함에 있어서 한계를 보였다. ‘살고싶은 마을만들기’의 시범마을은 궁극적으로 주민이 자발적으로 자신의 삶터를 가꾸어 나가기 위한 제도적장치이다. 마을만들기 사업이 잘 정착되기 위해서는 주민들의 마을만들기를 하고자 하는 욕구와 그에 따른 주민조직, 실무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전문가와의 연계가 필요하며, 원활한 사업진행을 위한 행정 지원이 중요하다. 또한 1회성 사업이 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마을만들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민들의 역량강화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A model village project of ‘Salgosipeun-dosimandeulgi, livable city in korea’ has been perform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ves and urban spaces and make a livable city by residents and local governments since 200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selecting process and problems from the project, investigate how it has been conducted in Busan, classify into three types by its main body and form, analyze its Characteristics, and point out its limitation. In particular, those types are as follows. First, Bansong 2-dong was a typical government-driven case. In the district, the project was undertaken focusing on a material business rather than software one, and then led not by its residents but by the Government. Second, Sanseong Town was a citizen group―or experts―driven case. Such a type was characterized by software businesscentered. However, there were several mistakes due to noncooperation and opposition with local residents. After all, the project was undertaken focusing on the material business. Third, Mulmangol was a resident-driven case. In the district, although the project was conducted by its initial plan at first, its practice exceeded the limit due to conflict with the Government and the lack of connection with experts. A model village project of ‘Salgosipeun-dosimandeulgi, livable city in koreay’, ultimately, is the institutional device to make local residents build their lives on their own initiative. To establish the project, it requires the will of Maul-mandulgi, resident groups, the connection with experts for practical help, and an administrative support for a good progress. It should be also necessary to build up residents’ competence in order to continue the Maul-mandulgi project, not to be one-time project.

목차

Ⅰ.‘살고싶은 도시만들기’란?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시범마을의 선정과 진행과정의 문제점
Ⅳ. 부산지역 마을만들기 시범마을의 유형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ENGLISH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태란(KIM Tae-Ran),인태정(IN Tae-Jeong). (2009).부산지역의 마을만들기 유형과 특성. 지역사회학, 11 (1), 145-169

MLA

김태란(KIM Tae-Ran),인태정(IN Tae-Jeong). "부산지역의 마을만들기 유형과 특성." 지역사회학, 11.1(2009): 145-1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