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新羅 移住 高句麗人의 歷史 編幕

이용수 282

영문명
Study on the History Compilation by Immigrants from Koguryŏ in Shilla
발행기관
한국사학사학회
저자명
盧鏞弼(Noh, Yong-pil)
간행물 정보
『한국사학사학보』제25권, 5~2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구려의 역사학 전통은 옛 기록을 정리하고 그 이후의 새로운 사실을 추가하여 서술하는 방식을 선호하고 있었으며, 개인의 업적을 서술하기에 앞서 국가의 시조(始祖) 혹은 가계(家系)의 선조(先祖)들의 위대한 업적에 대한 기술(記述)에 힘을 기울이는 성향이 강했다. 그리고 이러한 이유에서 특정한 인물 개인의 전기 곧 위인전(偉人傳)이 편찬된 게 전한다고 하더라도 후대에 계승하여 이를 재조명하여 거듭 편찬해내는 경향이 강했고, 유교적인 사관에 입각하여 춘추필법(春秋筆法)에 따라 역사를 편찬하는 전통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서 도교(道敎) 등에 대해 비판하는 관점에서 서술하고 또한 이를 계승하는 역사의식 역시 분명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 역사학의 영향을 받아 『사기(史記)』등을 본받은 기전체(紀傳體) 사서(史書)도 있었으며, 한편으로는 『진춘추(晉春秋)』와 같은 편년체(編年體) 사서도 수용되어 실제로 이를 바탕으로 한 역사 편찬이 이루어졌고, 그에 따라 기전체 체재를 따랐다고 하더라도 열전(列傳) 못지않게 본기(本紀) 역시 중시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하겠다. 이러한 전통을 계승한 신라 이주 고구려인들이 편찬하였다고 믿어지는 역사서 『고려고기(高麗古記)』의 내용상 특징은 4가지 점이었다고 생각한다. 첫째로, 고구려의 수(隋)・당(唐)에 대한 항쟁을 크게 내세우고 있었으며, 둘째로는 연개소문(淵蓋蘇文)의 경우에도 그래서 고평양성(古平壤城) 및 장성(長城)의 축조(築造) 사실을 업적으로 전면에 내세우고 있었다. 셋째로는 보덕(普德)을 비롯한 안승(安勝) 등 고구려인들의 신라 이주에 따라 결과적으로는 신라의 삼국 통일에 기여한 사실을 부각하여 특기하고 있었다. 넷째로는 보덕의 이주 이후의 그 제자들인 승려 및 여러 인물들의 활동들도 부각시키려 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신라 이주 고구려인들의 역사편찬 가운데 『보덕전(普德傳)』자체는 보덕과 더불어 신라 이주뿐만 아니라 고구려 멸망까지 함께 겪었던 개심(開心)과 보명(普明) 등 보덕의 제자에 의해 편찬되었을 것이며, 그리고 보덕의 제자들인 개심과 보명의 전기인 『개심전』과 『보명전』역시 그들의 다음 세대인 직계 후손 및 제자들에 의해 편찬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보덕전』과 『개심전』・『보명전』 그리고 『개소문전』 등이 담긴 『고려고기』는, 보덕을 기준으로 살핀다면, 적어도 그보다 3세대쯤 후인 곧 약 100년 정도 이후의 신라 이주 고구려인의 후예들이 편찬하였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tradition of history-writing in Koguryŏ(高句麗) dynasty was organizing past records and adding new facts on them. The historians of Koguryŏ dynasty had strong tendency to focus on writing the great achievements of the founding father of the dynasty and the ancestors of families before writing the achievements of individuals. Therefore, when they compiled a biography of certain particular individual such as a biography of a great man, they had tendency to reexamine the past records as the posterity and recompile the records for the new biography. The Koguryŏ historians also compiled history in the style of “chun-qiu history-writing style(春秋筆法)” based on Confucianism; therefore, they had critical viewpoint on Taoism and their awareness on history was also clear on such viewpoint. Accordingly, among the Koguryŏ history publications, there are biographical history-writing style(紀傳體) history books influenced by the Records of Historian(史記) of China and chronological history-writing style history books influenced by the Jin chun-qiu(晉春秋) of China. Though the history compilation followed the biographical history-writing style in general, the biography of kings(本紀) was as important as the biographies of great men other than kings(列傳) for Koguryŏ historians. Past History of Koguryŏ(高麗古記) is a history book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compiled by the immigrants from Koguryŏ in Silla(新羅), who succeeded the history-compiling tradition of Koguryŏ dynasty and it has following four characteristics. First, Past History of Koryŏ strongly emphasizes series of war during Koguryŏ dynasty against the Sui Dynasty(隋) and the Tang Dynasty(唐) in China. Second, it also highlights the construction of Old Pyeongyang Fortress(古平壤城) and Jang Fortress(長城) in the chapter dedicated to Yeon Gaesomun(淵蓋蘇文). Third, it calls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immigrants from Koguryŏ such as Monk Bodeok(普德) and An Seung(安勝) consequently contributed to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by Silla dynasty. Fourth, it also tries to stress the activities Koguryŏ people after Monk Bodeok, including the monks who had been pupils of Monk Bodeok. Among the history books compiled by the immigrants from Koguryŏ in Silla, the Biography of Monk Bodeok(普德傳) must have been compiled by the pupils of Monk Bodeok, such as Gaesim(開心) and Bomyeong(普明), who had lived through the fall of Koguryŏ dynasty and emigration to Silla with Bodeok. It is also believed that the biographies of Gaesim and Bomyeong, the Gaesim-jeon and Bomyeong-jeon, must have been compiled by the direct descendants or the pupils of Gaesim and Bomyeong. Therefore, the Past History of Koryŏ(高麗古記) must have been compiled by the immigrants from Koguryŏ in Silla around the time frame of 100 years, or, three generations after the Monk Bodeok; because it has the biographies such as Bodeok-jeon, Gaesim-jeon, Bomyeong-jeon and Gaesomun-jeon.

목차

【국문초록】
1. 緖言
2. 傳統과 繼承
3. 種類와 內容
4. 特徵과 目的
5. 撰者와 時期
6. 結語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盧鏞弼(Noh, Yong-pil). (2012).新羅 移住 高句麗人의 歷史 編幕. 한국사학사학보, 25 , 5-27

MLA

盧鏞弼(Noh, Yong-pil). "新羅 移住 高句麗人의 歷史 編幕." 한국사학사학보, 25.(2012): 5-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