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뉴미디어시대의 집단창작활동 연구

이용수 1257

영문명
Study on Collective Creativity in the New Media Era : Case studies of SNS and YouTube
발행기관
한국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이은아(Lee Eun-Ah)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콘텐츠』7호, 172~201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들어 문화와 예술분야에 걸쳐 일반인들이 참여하는 집단창작활동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뉴미디어가 제공하는 지식의 접근 용이성, 집단지성의 발현, 시간과 공간의 제한 없는 의사소통에 기인한 것으로, 전 지구적 규모의 일반인 참여 콘텐츠의 개발이 가능해진 것이 그 주요인이라 할 수 있다. 새로운 디지털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비롯되는 주목할 만한 변화는 공동체에 참여하는 과정과 배움의 경험이 갖는 가치 자체에 의미를 두는 것이다. 콘텐츠를 창작하는 주체와 소비하고 향유하는 객체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단계를 넘어서, 창작의 주체 스스로가 매체가 되는 것으로 진화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전 지구적 규모의 단원 참가를 시도하는 유튜브 오케스트라, 단순 축제적인 광장놀이형의 이벤트와 국내의 출판물에서 시도되고 있는 집단창작활동 등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디지털 뉴미디어 시대의 신인류는 집단적으로 창조하고 함께 더불어 참여하는데 그 의미를 크게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오가며 모여 그룹을 이루고 사회적 이슈에 동참하고 협업하며 예술을 적극적으로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삼는 창의적 공동체들은, 가장 이상적이며 지속가능한 집단창작공동체의 모형을 현실공동체와 가상공동체에서 연합적으로 벌이는 창작활동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집단창작활동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연합적 창장활동은 더 나아가 일반인 참여가 가능한 집단펀딩활동으로 까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집단창작활동이 지속적으로 활성화 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a growing number of public collectively participate in creative culture and arts activities. This trend is made possible thanks to easy access to knowledge via new media, manifest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availability of communications not bound to time or space, as well as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contents development in which general public of global size can participate. A notable change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o new digital environments consists in valuing the process of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ies and experience of learning. The barrier between creators of contents and users thereof is now pulling down, and further media are even evolving into the creators of contents. This paper sought to examine the YouTube Symphony Orchestra attempting at participation by members of global size, festive plaza play-type events, and collective creative activities being attempted by local public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in this digital new media era, new humans put a great meaning into collective activity and participation. Creative communities form online and offline groups, engage in addressing social issues together, and use arts as a means of their positive expression. They present the most ideal and sustainable collective creative community model based on collective creative activities by real-life communities and virtual communities. The collective online and offline creative activities can further develop into "collective fundraising activities" in which general public can participate, and this is seen as playing a crucial role in sustainable development to activate collective creative activitie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뉴미디어시대의 집단창작활동의 의의
Ⅲ. 뉴미디어를 활용한 집단창작활동 사례분석
Ⅳ. 창의적인 집단활동의 확산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아(Lee Eun-Ah). (2011).뉴미디어시대의 집단창작활동 연구. 문화예술콘텐츠, (7), 172-201

MLA

이은아(Lee Eun-Ah). "뉴미디어시대의 집단창작활동 연구." 문화예술콘텐츠, .7(2011): 172-2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