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渤海 기와의 硏究史的 檢討

이용수 467

영문명
Historical Research on Roof Tiles of the Balhae Kingdom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백종오(Baek, Jong-Oh)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92號, 167~19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4.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현재까지 발해 기와의 연구사를 남한과 북한, 일본, 중국과 러시아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남한의 연구는 유물에 대한 직접 조사의 제약이라는 제한적인 환경에도 불구하고 나름의 형식분류안과 편년안을 제시함으로써 발해 문화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는 단계에까지 진척하였으나, 여전히 다양하고 포괄적인 연구를 진행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반면에 북한은 일찍부터 발해 유적을 대상으로 연구가 가능하였다는 장점을 활용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학문적 연구 경향이 정치적 상황에 많은 영향을 받는 아쉬움이 있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가장 먼저 발해 기와 연구에 착수한 일본은 다양한 방법론적 이론을 적용하는 등 기술적인 측면에서 가장 큰 성과를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에 이루어진 단편적 조사에서 출토된 유물이 연구의 대상이라는 한계를 극복해야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적극적인 동북공정 사업을 추진한 중국은 상경성, 팔련성, 서고성, 국내성 등의 성곽 유적과 육정산 고분군 및 용두산 고분군 등 발해의 주요 유적을 발굴함으로써 가장 풍부한 자료를 바탕으로 발해 기와에 대한 매우 상세하고도 분석적인 연구를 진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해석 방법에 있어서 정치적 관점이 다분히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그 결과 연구의 성과가 상당히 변질되고 왜곡된 아쉬움이 큰 실정이다. 연해주를 중심으로 한 러시아의 발해 기와 연구는 한국과의 공동발굴조사가 활성화됨으로써 비로소 진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발해기와 출토 유적이 가지는 지역성과 성곽에 집중된다는 공간성의 측면에서 볼때 발해의 문화를 통시적으로 고찰하는 데에는 일정부분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러시아의 발해 기와 연구의 한계는 방법론적인 면에서도 기존 방식의 답습 등이 그대로 적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남한을 비롯하여 발해 기와를 연구대상으로 하는 북한, 중국, 러시아와 일본은 각각의 연구 대상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연구를 진행해 왔다. 더욱이 일부 국가의 경우 학문적 객관성과 진정성이 결여됨으로써 잘못된 역사인식을 주도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통합적이고 포괄적인 연구 태도를 공유하고 유기적인 연구 협력과 정책의 일관성의 확보 등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viewed the research history of roof tiles of the Balhae Kingdom by categorizing the studies according to the regions ofSouth Korea, North Korea, Japan, and China. In spite of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that restricted direct study of the relics, study of the roof tiles of Balhae Kingdom in the region of South Korea suggested methodologies of form classification and chronological approaches by which the studies weredeveloped to the stage of attempting to identify Balhae’s culture. However, a diverse and comprehensive study is yet to be conducted. Moreover, studies in North Korea have not utilized the geographical advantages of investigating the relics of Balhae that are on hand. In addition, the academic research trend in North Korea has been much affected by the political situation. Japan started research on Balhae’s roof files for the first tim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nd has achieved the most in terms of thetechnical aspects such as applying diverse methodological theories. However, the studies are limitedin that the relics excavated through partial research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re the only relics subject to researches. China, which has actively promoted China’sNortheast Project, excavated the fortress relics including those of Sangkyung Castle, Palryeon Castle, Seogo Castle, and Kuknae Castle and the major relics of Balhae Kingdom included the tomb in Mt. Yukjeong and the tomb in Mt. Youngdu. Based on the affluent data, China conducted very detailed and analytic researches. However, the political viewpoint has had quite an influence on the analysis of researches, which has distorted the research results considerably. It can be said that researches on Balhae’s roof tiles conducted by Russia started by activating joint excavation research with Korea and they focused on the coastal region of Primorsky. However, in terms of a spatial viewpoint, the researches focused only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fortresses where the roof tiles of Balhae were excavated and there were limitations on investigating the culture of Balhae diachronically. Those limitations on research of the roof files of Balhae Kingdom conducted by Russia have the problemthat repeated the methods of previous researches. As stated above, South Korea, North Korea, China, Russia, and Japan have performed their own researches on the roof files of the Balhae Kingdom based on each subject ofthe researches. Some countries misled with distorted historical recognition due to a lack of academic objectivity and authenticity. Therefore, it is required to share an integrated and comprehensive research attitude, conduct researches with organized cooperation, and secure the integrity of policies.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남한과 북한
Ⅲ. 일본
Ⅳ. 중국과 러시아
Ⅴ. 맺는말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종오(Baek, Jong-Oh). (2012).渤海 기와의 硏究史的 檢討. 백산학보, (92), 167-195

MLA

백종오(Baek, Jong-Oh). "渤海 기와의 硏究史的 檢討." 백산학보, .92(2012): 167-1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