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리학적 프로파일링과 경찰활동

이용수 781

영문명
Geographic Profiling and Policing
발행기관
한국범죄심리학회
저자명
신재헌(Shin, Jae Hun) 차훈진(Cha, Hoon Jin)
간행물 정보
『한국범죄심리연구』제7권 제3호, 175~189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리학적 프로파일링은 범죄발생지역을 중심으로 범죄자의 활동지역 및 거주지역과의 지역적인 관계성을 분석하여 범죄자가 거주하거나 활동하는 지역을 분석하는 기법으로서 일상활동이론과 반경이론에 근거하고 있다. 지리학적 프로파일링은 미국 연방수사국(FBI)에서 범죄 수사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외국의 선진 수사기법을 도입하여 적극 활용하여야 하는 필요성에 의해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관련 프로그램이 2009년 3월부터 시행되어 큰 성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외국 및 기타 선진국과 달리 한국형 지리학적 프로파일링 프로그램이 아직 부족한 실정이며, 전문 인력 또한 부족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지리학적 프로파일링을 활용한 경찰활동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였다.

영문 초록

The crime occurred due to the intelligence and specialized criminal investigations are experiencing great difficulty in recently in modern society. To solve the problem, the criminal's own activities or through the analysis of signs for each criminals profiling techniques used in a criminal investigation has been introduced. Criminal profiling,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and 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criminals does not predict or to analyze crime, the criminal's psychological analysis, and the evidence does not criminals, forecasts, estimates place the crime in various forms, such as is used in criminal investigations. Profiling techniques for geographic profiling of crimes occur mainly in the areas of criminal activity in residential area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ocal resident or criminal activity as a technique to analyze the Circle theory and Routine Activity Theory is based on descriptions. Geographic profiling techniques in the United States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FBI), and the Canadian National Police (RCMP). Thus, Korea Police is administered in March 2009 has formed a big success by introducing foreign advanced investigative techniques to be utilized by the need for active current-related programs. But Korean geographical profiling program is still lacking unlike other countries, it is a lack of expertise. Professional manpower for these problems, using geographic profiling, such as the police on how to strengthen the activities proposed.

목차

목 차
〔국문요약〕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경찰의 지리학적 프로파일링 활성화 방안
Ⅳ.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재헌(Shin, Jae Hun), 차훈진(Cha, Hoon Jin). (2011).지리학적 프로파일링과 경찰활동. 한국범죄심리연구, 7 (3), 175-189

MLA

신재헌(Shin, Jae Hun), 차훈진(Cha, Hoon Jin). "지리학적 프로파일링과 경찰활동." 한국범죄심리연구, 7.3(2011): 175-1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