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집단미술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부적응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변화 탐색

이용수 2

영문명
Exploring the Effects of a Group Art Program on the Social Interactions of Maladaptive Children
발행기관
인지발달중재학회
저자명
방나영 심미경
간행물 정보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5권 제2호, 1~2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모-자 관계에서의 상호 안아주는 환경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대상관계이론을 기반으로 집단미술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이에 참여한 부적응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에 위치한 I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2~3세 유아 3명으로 만 3세 남아 2명은 불안 또는 공격행동을 보였으며, 만 2세 여아는 고립 행동을 보인 유아였다. 2022년 8월~11월까지 주 1회, 총 12회기에 걸쳐 미술치료 전문가가 대상관계이론에 기반한 집단미술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매회기 녹화 및 관찰 기록을 바탕으로 대상 유아별 사회적 행동에서의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관계이론에 기반한 집단미술 프로그램에 참여한 만 3세 남아의 불안을 적극성, 함께하기, 언어표현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매체 탐색 및 활동 참여의 적극성, 친구와의 상호 교류, 언어표현이 증가하였다. 고립 행동을 보였던 만 2세 여아의 변화를 대상에 대한 관심 및 자기표현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주변에 관심을 보이고 친구들과 함께 하는 활동 및 자기표현이 증가하였다. 공격행동을 하는 만 3세 남아의 변화를 충동성, 조율하기, 자기표현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산만함이 줄고 탐색 후 활동에 집중하는 시간이 늘었으며 규칙을 따르고 서로 맞추어 조율하고 자신을 표현하는 모습이 증가하였다. 결론: 대상 유아들에게서 자신에 대한 긍정적 태도, 대상에 대한 관심 및 상대방에 대한 고려,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는 태도가 향상되는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그러한 결과는 건강한 모자 관계 경험을 통해 관계성을 치유하고자 한 대상관계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집단미술 프로그램이 대상과의 편안함과 심리적 안정을 높여 유아의 적응 행동에 효과적임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changes in the social interaction of maladjusted infants who participated in group art program, which was based on the object relations theory focusing on mutual holding environment of healthy mother-child relationship.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infants aged 2 to 3 years old who attended I daycare center in Gyeongsangnam-do. Two boys aged 3 years old showed anxiety or aggressive behavior, and one two-year-old girl showed isolated behavior. From August to November 2022, the group art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totally 12 sesssions by a professional specialist in art therapy. The changes in social interaction were analyzed qualitatively based on the recordings and observations of each session.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changes in the 3-year-old boy with anxiety in terms of activeness, togetherness, and verbal expression. He became more active in exploring art materials as well as participating in activities, increasing mutual exchanges with friends and verbal expressions. The 2-year-old girls showed isolated behaviors was analyzed in terms of interest in objects and self-expression. She showed more interest in her surrounding, increased activities with friends and self-expression. The 3-year-old boy conducted aggressively was analyzed in terms of impulsivity, coordination, and self-expression. His distractions decreased, time spent concentrating on activities after exploration increased, and following rules, coordinating with each other, and expressing himself increased Conclusion: Positive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target children, including improved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mselves, interest in objects and consideration of others, and attitudes toward expressing their thoughts and feelings and asserting themselves appropriately. Such results were discussed that the group art program based on object relations theory, which seeks to heal relationships through healthy mother-child relationship experiences, is effective in children’s adaptive behavior by increasing comfort and psychological statility with the object.

목차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방나영,심미경. (2024).집단미술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부적응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변화 탐색. 인지발달중재학회지, 15 (2), 1-20

MLA

방나영,심미경. "집단미술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부적응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변화 탐색." 인지발달중재학회지, 15.2(2024): 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