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폭력 피해 아동의 진술에 대한 준거기반 내용분석의 활용 가능성 연구

이용수 1159

영문명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CBCA for the statements of sexually abused children
발행기관
한국범죄심리학회
저자명
고은영(Ko, Eun-young) 채규만(Chae, Kyu-man)
간행물 정보
『한국범죄심리연구』제7권 제3호, 5~2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준거기반 내용분석(Criteria-Based Content Analysis: CBCA)은 성폭력 피해 아동 진술의 신빙성을 평가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진술분석 방법이다. CBCA는 19개의 내용 준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별 준거들은 진술의 진실성 지표로써 허위로 꾸며낸 진술보다 진실한 진술에서 더 많이 나타날 것임을 전제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 아동의 진술녹화 영상자료에 대한 CBCA의 활용 가능성 연구를 위해 실시되었으며,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아동의 진술이 성폭력 피해를 경험하지 않은 아동의 진술보다 CBCA점수가 더 높은 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아동 연구대상자는 24명이고, 성폭력 피해를 경험하지 않은 아동 연구대상자는 15명이었다.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아동 연구대상자는 의학적 증거, 용의자 자백, 목격자 진술, 물리적 증거, 전문가 행동관찰, 그리고 부모보고 및 심리검사를 고려하여 선별되었다. 연구결과,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아동의 진술은 성폭력 피해를 경험하지 않은 아동의 진술보다 CBCA 총점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13개의 준거가 두 집단을 유의미하게 구별해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CBCA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도 CBCA를 통한 성폭력 피해 아동의 진술분석이 활용 가능함을 지지해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점과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Criteria-Based Content Analysis(CBCA) is one of the most popular statement analysis methods to asses for the credibility assesment used for the sexually abused victims. CBCA consists of 19 content criteria. Each criterion is an indicator of truthfulness of a statement, and is more frequently present in truthful statements rather than in fabricated o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pplicability of CBCA for video recording of children's interview regarding their sexual abuse experiences. It was hypothesized that CBCA scores for the sexually abused children's statement about their sexual abuse would be higher than those of children's statements who have not experienced sexual abuse. The numbers of subjects under thirteen years old children with sexual abuse were 24, and the numbers of subjects with no sexual abuses were 15. The twenty four children with sexual abuse were screened and positively identified as sexual abuse victims by the other six sexual abuse indicators such as the medical evidences, confession of suspects,eyewitness, physical/material evidences, behavioral symptoms and parent reports/psychology tes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children who experienced sexual abuse receiv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CBCA scores than those of the children who have not experienced sexual abuse. In addition, 13 criteria of CBCA were able to significantly discriminate the sexually abused children's statements from the non-sexually abused children's statements about truthfulness of their testimon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nt with those of previous studies conducted. Finally,som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목 차
국문요약
Ⅰ. 서 론
Ⅱ. 연구설계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은영(Ko, Eun-young),채규만(Chae, Kyu-man). (2011).성폭력 피해 아동의 진술에 대한 준거기반 내용분석의 활용 가능성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7 (3), 5-22

MLA

고은영(Ko, Eun-young),채규만(Chae, Kyu-man). "성폭력 피해 아동의 진술에 대한 준거기반 내용분석의 활용 가능성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7.3(2011): 5-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