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찰업무로 유발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관한 연구

이용수 2345

영문명
A Study on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Police Office
발행기관
한국범죄심리학회
저자명
곽대경(Kwak, Dae-Gyung) 김도우(Kim, Do-Woo) 김미경(Kim, Mi-Gyeong)
간행물 정보
『한국범죄심리연구』제7권 제3호, 23~4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찰공무원은 업무 특성상 살인, 강도, 폭력, 성폭력, 자살, 교통사고 등의 사건 현장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며, 살해당하거나 부상을 입은 피해자들을 목격한다. 또한 범인들을 검거하기 위해 싸우다가 경찰관 본인이 부상을 입거나 동료의 부상이나 사망을 목격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경찰관들은 이러한 외상성 사건들을 자주 접하게 된다. 따라서 경찰관들은 일반인들에 비하여 외상성 사건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정신적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 경찰업무상 외상성 사건의 경우 크게 경찰관 자살과 공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경찰관 자살의 경우 지난 4년간 신변 비관 등을 이유로 자살하는 경찰공무원의 숫자가 해마다 증가하여 2011년 3월까지 총 61명이 자살하였으며, 공상자의 수도 지난 5년간 총 7,546명으로 연평균 2.17%씩 증가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경찰관의 정신건강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인천 지방경찰청이 전국 최초로 2009년 5월 7일에 인하대병원, 길병원, 인천지방변호사회, 신용회복위원회, 인천시정신보건센터 등 13개 기관과 함께 경찰관의 스트레스 등을 의학적ㆍ과학적으로 치유하기 위해 고민이나 정신 적 스트레스 등이 효율성 저하와 자체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치료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한 바 있으나, 전문 인력이 부족하고, 국가적 차원의 통합적인 관리체제가 아니라 인천지방청에 국한되어 있어 전반적인 예방 및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전문 중앙 기관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경찰관들의 업무 특성상 필연적으로 경험하는 외상성 사건들로 인한 경찰관의 PTSD에 대해 알아보고 우리나라 경찰의 PTSD 관리체제의 현황 및 문제점에 대해 분석한 후 선진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프로그램들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경찰관들의 PTSD에 대해 올바른 인식 및 접근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방안들을 모색한다.

영문 초록

Police service is widely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dangerous and stressful occupations. Police works are frequently exposed to potentially traumatic situations, such as motor vehicle accidents, murder cases and witnessing violent deaths. They can make police officers at risk for develop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Police officers with PTSD are likely to have depressive mood, psychosomatic complaints, social dysfunction, and substance abuse, early retirement, effects of family functioning and so on. Many police officers may experience symptoms that fail to meet full diagnostic criteria for PTSD after critical incidents, but in part. Although screening and early intervention are necessary, given that the symptoms may contribute to adjustment problems in social, family, and work settings, we have fail to take steps to prevent PTSD and deal with the officers with PTSD recently. In addition, we need to change the way we regard those with mental disord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PTSD in police officer on the basis of the status of police officers in critical incidents. and the correct perception and approach that helps to provide direction for ways to explore.

목차

목 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경찰업무상 외상성 사건 현황 및 문제점
Ⅳ. 경찰관 PTSD에 대한 개선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대경(Kwak, Dae-Gyung),김도우(Kim, Do-Woo),김미경(Kim, Mi-Gyeong). (2011).경찰업무로 유발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7 (3), 23-46

MLA

곽대경(Kwak, Dae-Gyung),김도우(Kim, Do-Woo),김미경(Kim, Mi-Gyeong). "경찰업무로 유발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7.3(2011): 23-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