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50년대 ‘전국문맹퇴치교육’의 사회교육사적 의미

이용수 1096

영문명
A Study on the Meaning of National Literacy Campaign in the 1950s in the Perspective of History of Social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평생교육학회
저자명
오혁진(Oh, Hyuk-Jin) 허준(Heo, Joon)
간행물 정보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17권 제4호, 265~29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50년대 실시된 대표적인 사회교육정책으로서 ‘전국문맹퇴치교육’이 갖는 사회교육 사적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1950년대의 시대상황 및 ‘전국문맹퇴치교육’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교육 제도화의 특성 및 사회교육의 일반적 특성으로부터 도출한 준거를 바탕으로 ‘국민기초교육’, ‘민주시민교육’, ‘경제개발 등 국가 재건을 위한 기제’로서 ‘전국문맹퇴치교육’의 세 영역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국민기초교육으로서 1950년대 문해교육은 성인의무교육으로서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으나, 그 수준이 초등학교 2학년 수준에 해당하는 것이었고 이 교육이 학력 취득과 연계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고 있었다. 둘째 민주시민교육으로서의 문해교육은 민주시민으로서의 학습 기회를 제공하였으나 동시에 국가관 정립, 반공정신 확립 등 국가 통합과 통제의 기능도 담당하였다. 셋째 정부가 경제활동인구 및 군인에 대해 우선적인 문해교육을 실시하는 등 국가 재건의 목적을 가지고 있었으나 이 사업은 국가 재건을 위한 보완적이고 간접적인 수준에 머물렀다. 1950년대 ‘전국문맹퇴치교육’은 당시 시대적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사회교육정책이기도 하지만, 당대 시대적 모순을 동시에 안고 있는 정책이기도 했다. 이점에서 오늘날 이루어지고 있는 문해교육 제도화는 문해교육의 현대적 요구를 수용하는 일이기도 하지만, 역사 속에서 사라진 1950년대 문해교육정책의 유산을 복기(復棋)하고 미완의 사명을 완수하는 일이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purposed to analyze the historical meanings of National Literacy Campaign(NLC) as a typical policy of social education which was carried out at the national level in the 1950s in the perspective of history of social education. Firstly, we described social context, reviewed historical records about NLC in the 1950s and analyzed three domains of NLC; a national basic education, a civic education and a method for nation- rebuilding on the basis of criteria extracted from the general mechanism of educational institutionalization and the general traits of social education. As results, firstly, NLC as a national basic education can be regarded as a compulsory education for adults. However this had some limits as a compulsory education because its level was only equal to the secondary grade of elementary schools and people could not receive academic recognition in this education. Secondly, this education as a civic education allowed people to apprehend themselves as citizens who had rights to participate in political events such as popular votes, but this education had functions as a control mechanism under the undemocratic society in Korea as well. Thirdly, the government had intentions for rebuilding Korea through this education, but its efforts were made only at an indirect and complementary way. In this respect, NLC satisfied some social needs for literacy but it was an unfinished project since it could not accomplish completely its mission as a educational policy for the illiterate. After all, NLC in the 1950s was the social education policy not only embracing actively the government’s and people’s requirements for education, but also containing the contradictions of the 1950s. Thus, we should replay this heritage of the 1950s and try to fulfill unfinished mission in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of adult literac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사회교육정책 분석 틀 및 연구 방법
Ⅲ. 1950년대 한국사회와 ‘전국문맹퇴치교육’의 전개 과정
Ⅳ. 사회교육정책으로서 ‘전국문맹퇴치교육’의 성격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혁진(Oh, Hyuk-Jin),허준(Heo, Joon). (2011).1950년대 ‘전국문맹퇴치교육’의 사회교육사적 의미. 평생교육학연구, 17 (4), 265-291

MLA

오혁진(Oh, Hyuk-Jin),허준(Heo, Joon). "1950년대 ‘전국문맹퇴치교육’의 사회교육사적 의미." 평생교육학연구, 17.4(2011): 265-2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