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he Typology of Deverbal and Verbal Nouns in Slavic

이용수 32

영문명
슬라브어의 동사파생명사와 동사의 명사(형) 유형 - 불가리아어를 중심으로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저자명
추석훈(Sukhoon Choo)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연구』동유럽연구 제28권, 23~4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슬라브어의 동사파생명사의 유형에 대한 연구이다. 슬라브어의 동사파생명사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첫째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동사파생명사로, 기본 어휘(lexicon)로부터 파생하며 명사가 가지는 모든 특성을 지니며 문장 내에서 명사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둘째는 “동사의 명사(형)”으로, 문장 내에서 삽입된 동사로부터 통사적으로 파생하며 명사와 동사가 가지는 특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이 논문은 이 두 유형의 특성을 분석하고, 기본 유형에서 벗어난 예들을 심층 분석하며 각각의 차이점에 대한 이론적인 토대를 제공한다. 불가리아어는 두 가지 유형을 잘 보여주는 언어이다. 1장에서는 이 유형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četeneto na knigata ‘책읽기’에서 četene는 동사 četa ‘읽다’에서 파생된 전형적인 행동파생명사다. 이 파생명사는 일반 (어휘)명사가 가지는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 즉, 파생명사는 정관사 -to를 취할 수 있고, 전치사 na ‘~의’와 함께 목적보어를 취할 수 있으며, četeneto 는 다른 (어휘)명사와 동일하게 형용사(중성형) 수식이 가능하다. 이어지는 장에서는 이 두 유형이 기능적으로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어떻게 작용하는지 살펴보고 문장 내에서 구조적으로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지니는지 통사적으로 분석하고 결론으로 이어진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typology of action nominals derived from verbs in the Slavic languages. It argues that there are two prototypical types: a deverbal noun, which is created in the lexicon and inserted into the sentence like any other type of lexical noun, with all the properties associated with the category of noun; and what is termed a “verbal noun” in this article, a noun created in the syntax from a lexical verb inserted there, and which shows properties of both lexical nouns and lexical verbs. The paper analyzes the properties of the prototypical cases, extends the analysis to examples in some Slavic languages which deviate from the pure prototypes, and offers a theoretical account of the distinction. Bulgarian illustrates the two prototypical types perfectly. It is possible to say četeneto na knigata ‘the reading of the book’. The form četene is the standard lexical deverbal action noun from the verb četa ‘read’. The NP thus formed here illustrates several properties of lexical nouns: the deverbal noun bears the definite article -to; the objective complement is attached by means of the preposition na ‘of’; and četeneto can be modified by a neuter adjective, like any other lexical noun. But Bulgarian also has a “verbal noun”: četene knigi ‘reading books’. The prototypical properties of this construction are quite different: the verbal noun cannot take the postposed definite article; the objective complement follows with no intervening preposition; and modifiers of the verbal noun occur in the form of adverbs, not neuter adjectives. Other Slavic languages deviate from this two-fold prototypical distinction. In Macedonian the verbal noun is completely productive, and the deverbal noun is rather limited. However, in Russian the verbal noun is almost totally suppressed and only the deverbal noun occurs. In Polish, on the other hand, only the formal deverbal noun occurs, but it has syntactic properties which belong more properly to the verbal noun. An analysis is offered in the framework of “autolexical syntax” (Sadock 1991).

목차

〈Abstract〉
1. Introduction
2. The Two Types of Action Nominals in Bulgarian
3. Functional Differences between Verbal and Deverbal Constructions
4. A Formal Account of the Verbal Noun Constructions
5. Conclusion
《References》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추석훈(Sukhoon Choo). (2011).The Typology of Deverbal and Verbal Nouns in Slavic. 동유럽발칸연구, 28 , 23-42

MLA

추석훈(Sukhoon Choo). "The Typology of Deverbal and Verbal Nouns in Slavic." 동유럽발칸연구, 28.(2011): 23-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