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적응과 유아의 자아 존중감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이용수 846

영문명
Pre-school children in the child’s adaptation and self Esteem, social skills and relationships
발행기관
한국사회혁신학회
저자명
형근혜
간행물 정보
『한국사회혁신학회보』제2권 제1호, 126~146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8.1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육 기관에서 유아의 적응과 유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련성,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적응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로 유아가 유아교육기관에 안정적으로 적응하고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달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에 따르는 자아존중감을 성별에 따라 살펴본 결과 남아와의 적응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적응과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하위 요소별로 보면 남아의 적응은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소 중 인지능력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에 따르는 사회적 능력은 성별에 따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본 결과 남아의 적응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소 중 친사회적 행동은 정서 상태, 또래 간의 적응, 일과에 대한 적응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능력의 하위 요소 중 외적 문제 행동은 친사회적 행동, 일과에 대한 적응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소 중 내적 문제 행동은 여아의 적응과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사회적 능력이 높을수록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적응력이 높다고 본다. 이것은 사회적 능력이 높은 유아일수록 유아교육 기관에서의 적응능력 또한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a pre-school child’s adaptation and relevance of self-esteem of children, pre-school children in the child’s adaptive and social skills of relevance to the study of infant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o adapt their potential stable possible for the purpose of development were stud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s follows. First, an adaptation of a pre-school children in the self-esteem by gender according to the results seen with the remaining relationship between adaptation and self-esteem appeared to be irrelevant,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ation and self-esteem look at each sub-element remains adaptation of self-esteem of the child elements of the matter and found that cognitive ability. Second, the adaptation of pre-school children in social skills according to gender have seen that, depending on the results of any relevant adaptation of the remaining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kills and showed that no significant correlation. Therefore, a sub-element of the social skills of the emotional state of the chinsahoejeok behavior, peer between the adaptation, and adaptation to work and social skills appeared to be a matter of a sub-element of outward behavior chinsahoejeok behavior problems, work to do with adapting to showed that. The internal problems of the social skills of a sub-element adapt the behavior of girls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These results the higher the social skills of children from pre-school looks high adaptability. This social skills the more pre-school children at high adaptive capacity also suggests that high.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및 절차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형근혜. (2011).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적응과 유아의 자아 존중감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한국사회혁신학회보, 1 (2), 126-146

MLA

형근혜.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적응과 유아의 자아 존중감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한국사회혁신학회보, 1.2(2011): 126-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