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傳統地理學의 住它立地와 內部空間의 方位的象徵性에 關한 硏究

이용수 333

영문명
A Study on Position of House and Symbol of Space Direction in Traditional Geography - Focusing on Comparison and Utilization Possibility of 3 Principles of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이승노(Lee Seung Noh)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23권 제2호, 181~19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8.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국청나라 조정동의 양택삼요와 한국 손유헌이 저술한 민택삼요의 이론 구성 및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먼저 중국의 양택삼요의 기본이론을 소개한 후 한국의 민택삼요의 내용을 소개 하고 중국과 한국의 주택구조의 차이점으로 인해 적용상의 문제점을 한국의 선조들은 어떻게 극복하려 했는지 먼저 살폈다. 이를 위해 양택삼요와 손유헌의 민택삼요에 대한 이론을 중심으로 풍수형국론에 대한 원리적 분석을 통하여 양택풍수론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한국의 현대 주택 내부공간에 대한 적용에 대해 설명 하였다. 본 연구결과 한옥의 내부공간 요소에 대한 방위적 상징성은 역(易)의 논리를 취용하면서 공간방위에 대한 철학적 사고를 인간이 거주하는 주택공간에 적용함으로서 自然順應的주거문화를 이루려는 사유체계 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와 같은 이상기후와 자연재해가 심각하게 나타나는 불완전 생태환경 조건에서 아파트와 빌라 및 단독주택으로 대별되는 현대 주택문화에 자연과의 상생적 조화를 강조하는 풍 수론은 전통지리학으로서 현대인의 주거문화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compared and analyzed both theoritical compositions and differences of 3 principles of YangTaeg of Jo Jeongdong in Ching dynasty and 3 principles of MinTaeg of Son Yuheon in Korea. This study briefly reviewed 3 principles of YangTaeg of China and 3 principles of MinTaeg of Korea, and then researched the Korean ancestors’ ways of overcoming application issues which arise from the differences between housing structures of Korean and that of China. The problems of YangTaeg Feng-shui theory were suggested based on fundamental analysis of Feng-shui situation theory and 3 principles of YangTaeg and 3 principles of MinTaeg of Son Yuheon. And the application of this theory into internal space of modern Korean houses was explained. Looking at the results, directional symbol of internal space of Hanok has been a system of thinking which adapts to the nature by applying philosophical thought of direction to house accepting theory of Yeok. Thus, Feng-shui as traditional geography which puts emphasis on harmonious relationship with nature is full of suggestions to modern housing culture of apartment, villa and detached house under these unstable circumstances like severe abnormal climate and natural disaster.

목차

요약
Abstract
1. 서 론
2. 풍수지리학에서의 주거입지에 대한 고찰
3. 주택풍수론에서의 내부공간론에 대한 고찰
4. 현대 주택에서의 적용
5. 결 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노(Lee Seung Noh). (2011).傳統地理學의 住它立地와 內部空間의 方位的象徵性에 關한 硏究. 문화역사지리, 23 (2), 181-196

MLA

이승노(Lee Seung Noh). "傳統地理學의 住它立地와 內部空間의 方位的象徵性에 關한 硏究." 문화역사지리, 23.2(2011): 181-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