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집단구성원의 기분이 집단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실증적 분석연구

이용수 482

영문명
The effects of moods on group decision making: Implications for collectivistic culture
발행기관
대한중국학회
저자명
소원근(Wongeun So)
간행물 정보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中國學 第39輯, 149~18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8.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대사회에서 조직의 업무는 개인 혼자만의 능력이나 노력을 넘어서 타인들과 팀을 이루어 달성할 때 좀 더 완성도가 높아질 수 있다. 본 연구는 개인의 기분이 조직 내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등 개인의 정서상태가 직장 내 주요한 직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과 동시에 중국을 비롯한 집단주의 문화권에서의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기분이 위험선호에 미치는 영향과 집단토론 이후의 극화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연구의 참가자들은 서울 소재대학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모집이 되었으며, 총 184명의 대학생들이 3명씩 62개의 집단을 이루어 실험에 참가하였다. 기분이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참가자들은 긍정적, 부정적, 중성적인 기분 중 한 가지를 가지도록 특정기분의 유도과정을 거친 후 토론 이전과 이후의 의사결정을 각각 기록하여 제출하도록 지시받았으며, 이들의 의사결정은 서로 다른 3가지 기분요인과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분산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가 정립한 3가지 가설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지지되었다. 첫째, 중성적인 기분을 가진 개인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위험을 수반하는 의사결정을 내렸다. 둘째, 행복한 개인들로 이루어진 집단은 극화된 의사결정을 내리지 않았다. 셋째, 우울한 기분을 가진 개인들로 이루어진 집단은 중성적이거나 행복한 기분의 개인들로 구성된 집단들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험도의 결정을 내렸음을 알 수 있었다. 인지적, 동기적 기분모형들이 본 연구의 가설을 지지하기 위한 이론적 기제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의사결정의 연구들이 개인의 특질에 중점을 둔 반면, 다소 상황의존적이며 약한 지속성을 지닌다는 이유로 경시되어 온 기분 변인을 중점적으로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개인차원의 의사결정을 넘어서 집단상황 속에서 개인의 기분이 의사결정의 극화를 나타내는 정도를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와 관련하여 중국 및 동아시아 문화권에서의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mood on group decision-making in terms of polarization. The design of the study was a 3(mood: positive, negative, vs. neutral) * 2(decision: individual vs. group) mixed design, with mood being a between-subject variable and decision being a within-subject variable. Participants were 184 undergraduate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South Korea. For the purpose of mood manipulation, participants were asked to describe events that aroused the most happiness or the most sad emotional states from their life experiences. They were then asked to record their decision in terms of risk taking. Through ANOVA, it was found that all three hypotheses were supported in statistical significance. First, groups in the neutral mood condition, when presented with a risk inducing choice dilemma, showed a risky shift in their decisions. Second, groups in the happy mood condition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hift in their decisions. Last, groups in the sad mood condition became riskier than either group of the other two mood conditions. Two major perspectives can account for mood’s effects on depth of information processing. One explanation posits that participants in the sad mood condition processed information centrally, that was elaborate and process information relevant to the task at hand. Happy participants, on the other hand, are believed to be less capable of systematic information processing. The second explanation, motivational in nature, posits that the shift demonstrated in the sad mood condition is a result of the motivation of sad participants to get our of their negative mood state, whereas happy participants are motivated to maintain their mood and avoid complex information processing.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collectivistic culture including China and East Asia.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가설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소원근(Wongeun So). (2011).집단구성원의 기분이 집단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실증적 분석연구.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39 , 149-180

MLA

소원근(Wongeun So). "집단구성원의 기분이 집단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실증적 분석연구."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39.(2011): 149-1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