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연적 情과 당위적 情

이용수 427

영문명
Natural Sentiment and Moral Sentiment: A Study on Human Tendency and Sentiment in Xunzi
발행기관
한국동양철학회
저자명
정재상(JUNG, Jaesang)
간행물 정보
『동양철학』東洋哲學 第35輯, 149~17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7.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荀子』에 나타난 ‘자연적 情은 禮에 반하는 것이다’라는 언설과 ‘禮는 인간의 자연적 情에 기반한다’고 하는 두 가지 언설을 종합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荀子의 ‘情’은 기본적으로는 가치중립적인 개념이지만 ‘性惡’ 논증에 있어서는 부정적인 뉘앙스를 갖는 것으로 이야기 된다. 한편, 『荀子』 「禮論」편에서는 ‘復情’에 관해 논의되고 있고, 또 의례와 관련해 情이 禮의 근거로 서술되고 있다. 이러한 情과 禮의 연속성과 상보적 관계는 기존 연구에서 거의 주목받지 못하거나 荀子사상의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분석되지 못하였다. 일견 모순되어 보이는 情에 대한 이러한 양가적 태도는 荀子禮論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며, 또한 전국시대 및 한대 이후의 유가의 人性論및 禮論속에도 숨쉬고 있는 것이다. 情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荀子』의 性情論을 재고찰해 보는 일은 荀子의 性惡說이나 禮論의 성격을 좀 더 분명히 드러내 줄 것이며, 나아가 중국 고대 인성론사를 조망하는데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takes two controversial arguments of Xunzi into consideration, which are “the natural sentiments are against the proprieties (li 禮)” on the one hand, and “the proprieties are based on those natural sentiments”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sentiments (qing 情)’ in Xunzi are basically neutral concepts in value judgment, they are described negatively in the demonstration of ‘evilness of human tendency (性惡)’. However, the chapter of “Theory of the Proprieties (禮論)” discusses of ‘the recovery of human sentiments (復情)’; When it comes to the matter of ritual, ‘the sentiments’ are the very ground for the proprieties. This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ntiments and the proprieties, or qing and li, has never been properly analyzed in the overall context of Xunzi’s thoughts or even rarely paid attention to. Both arguments are seemingly contradictory, but the ambivalence toward human sentiments is the crucial point of Xunzi’s theory of the proprieties, as well as in ongoing theories of human nature and proprieties of Confucian School since the Warring States period. If the discussion focused on the point of ‘sentiments (qing)’, we can make clearer both characteristics of arguments on the evilness of human tendency and the proprieties. In addition, it can be suggested a new viewpoint for the history of thoughts on human nature in ancient China.

목차

【논문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情과 禮
Ⅲ. 性惡
Ⅳ. 復情
Ⅴ.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재상(JUNG, Jaesang). (2011).자연적 情과 당위적 情. 동양철학, 35 , 149-174

MLA

정재상(JUNG, Jaesang). "자연적 情과 당위적 情." 동양철학, 35.(2011): 149-1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