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개인정보의 보호와 이용법제의 분석을 위한 헌법상 고찰

이용수 753

영문명
A constitutional analysis for legal protection and use of personal information
발행기관
한국헌법학회
저자명
김일환(ILHWAN KIM)
간행물 정보
『헌법학연구』憲法學硏究 第17卷 第2號, 353~389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헌법상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은 원칙적으로 자기의 개인정보를 공개하고 이용하는 것에 관하여 스스로 결정할 개개인의 권리를 뜻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은 자기의 정보에 관한 절대적인 지배권을 개인에게 부여하지는 않는다. 개인정보자기결정권과 개인정보의 공개와 이용에 관한 권리들 간에 갈등이 있음은 물론 부인될 수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능한 한 양자 모두 그 작용을 발현하고 한 권리가 다른 권리를 통하여 절대적으로 차단되지 않을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 양자 간에 존재하는 이러한 긴장관계를 조정하는 것은 우선적으로 입법자의 과제이다. 그리고 입법자가 이러한 과제를 충실히 수행한 경우에 개개 경우에 구체적으로 개인정보보호가 우선되는지 아니면 개인정보의 공개나 이용이 중요시되는지를 판단해야만 하는 것이다. 헌법상 개인정보의 보호와 이용에 관한 다양한 기본권들이 있는 바, 이에 대한 고찰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러한 분석과 연구가 선행되어야만 관련 법제의 정비방향과 내용들이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제시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2004년 이후 개인정보보호법 제정논의가 지루하게 이루어지는 과정 속에서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에서 개인정보보호 및 이용과 관련하여 일관된 원칙과 기준없이 많은 법률들이 만들어졌다. 이제부터 새로 제정된 개인정보보호법에 맞추어 기존의 관련 법률들을 재검토해야 한다.

영문 초록

In principle, the constitutional right to self dec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the right to decide to open and use personal information for themselves. However this right to self dec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doesn’t vest absolute control respecting own information to each individual. We can not deny, of course, that there exist conflicts between the right of decision for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right of opening and using personal information to the public. Nonetheless, both rights need to function desirably as far as possible. And it is required that one right should not disturb the other right. Therefore, it is a lawmaker’s tasks to arbitrate a dispute between the two. When lawmaker faithfully carries out one’s such duties, we have to judge concretely whethe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should take precedence over opening and utiliz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o the public or not. Constitutionally, there are diverse rights concerning the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about these protection and utilization. The importance of preceding this study in advance lies in the fact that the improvement direction and contents of related legal system can be concretely and systematically suggested afterward. Later, particularly since 2004, many regulations were enacted without consistent principle and standard concerning the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e field of public and private sectors during the tedious process of enac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law. From now on, several established laws should be reconsidered according to the new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제기
Ⅱ. 헌법상 개인정보 관련 기본권의 의의와 내용
Ⅲ. 개인정보보호법제 분석의 원칙과 기준
Ⅳ. 개인정보보호법제 정비의 방향과 내용
Ⅴ. 공공부문에서 개인정보 보호와 이용 관련 법제 분석
Ⅵ. 민간부문에서 개인정보 보호와 이용 관련 법제 분석
Ⅶ.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일환(ILHWAN KIM). (2011).개인정보의 보호와 이용법제의 분석을 위한 헌법상 고찰. 헌법학연구, 17 (2), 353-389

MLA

김일환(ILHWAN KIM). "개인정보의 보호와 이용법제의 분석을 위한 헌법상 고찰." 헌법학연구, 17.2(2011): 353-3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