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Estimating Domain Scores for Mixed-Format Tests under Item response theory and Generalizability theory Approaches

이용수 291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신민정(MinJeong Shin) 이규민(Guemin Lee)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24권 제2호, 507~52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영역점수를 추정하기 위해 문항반응이론과 일반화 가능도이론을 활용한 추정 방법을 적용해 보았다. 그리고 관찰 점수와 두 이론을 적용하여 산출한 점수를 비교해 보고, 가장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선행 연구와 다른 점은 이 연구에서는 혼합형 검사를 사용했다는 것과 개인 수준과 집단 수준에서의 추정치를 모두 포함하였다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크게 두 가지 조건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조건은 문항 수와 집단 안에 포함된 피험자 수이다. 문항 수를 13, 26, 51 문항으로 하여 각각 세 가지 검사형을 구성하였고, 집단 내 피험자 수는 25, 50, 100명으로 세 개의 다른 집단을 가정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화 가능도이론과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방법이 관찰점수 방법보다 더 정확한 결과를 산출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인 수준에서는 최대우도추정치 방법이 모든 조건에서 가장 작은 평균제곱오차를 보였다. 문항 수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제곱오차는 줄어들었으나, 13 문항에서 26 문항으로 증가할 때에는 평균제곱오차의 감소폭이 크지 않았다. 집단 수준에서의 결과에서도 역시 관찰점수 방법보다는 일반화 가능도이론과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방법이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문항 수가 13일 때에는 최대우도추정치 방법이 가장 작은 평균 제곱오차를 보였고, 26 문항으로 이루어진 검사형에서는 집단 내 피험자수에 상관없이 문항반응이론방법이 일반화 가능도이론 방법보다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문항 수가 51문항으로 증가함에 따라 관찰점수를 제외한 각 방법의 추정치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이 연구에서는 비록 감소되는 폭이 각 조건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집단 내 피험자 수와 문항수가 커짐에 따라 평균제곱오차는 점차 줄어든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ve appropriateness of several estimation methods for domain scores under item response theory (IRT) and generalizability theory (G-theory) approaches. Both individual and group level domain score estimates were examined with mixed-format data. Several simulation conditions were formulated by considering and combining the number of items within a separate domain (13, 26, and 51) and the number of examinees within a specified group (25, 50, and 100). Based on the results, both G-theory and IRT-based approaches produced better estimates for domain scores than did using observed scores for all conditions. At the individual level, IRT-MLE method showed the smallest mean square error (MSE). As the number of items increased, MSE decreased as expected. When the number of items increased from 13 to 26, the decrease in MSEs did not seem to be large. At the group level, the GT-Searle method produced the largest MSEs. As the number of items within a domain and examinees within a group increased, MSEs decreased to some extent.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Method
Ⅳ. Results
Ⅴ. ConclUsions
References
저자소개
〈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민정(MinJeong Shin),이규민(Guemin Lee). (2011).Estimating Domain Scores for Mixed-Format Tests under Item response theory and Generalizability theory Approaches. 교육평가연구, 24 (2), 507-526

MLA

신민정(MinJeong Shin),이규민(Guemin Lee). "Estimating Domain Scores for Mixed-Format Tests under Item response theory and Generalizability theory Approaches." 교육평가연구, 24.2(2011): 507-5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