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오답원인 자기평가의 외적타당화

이용수 288

영문명
An external validation of the self-evaluation of wrong answers: With 11th grade Mathematics and English classes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김성훈(Sung-Hoon Kim)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24권 제2호, 209~23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중학교 3학년 과학과에서 오답원인 자기평가를 실시한 후에 나타난 학업성취도 향상의 효과(김성훈, 2008, 2009)가 고등학교 2학년 수학과와 영어과 성취도 평가에서도 나타날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 선행연구와 같이 한 학기동안 오답원인 자기평가를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각 회기별로 학업성취도 가치부가 점수를 실험-통제 집단 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중학교 3학년 과학과에 나타났던 효과가 그대로 고등학교 2학년 수학과나 영어과에 일반화되기는 어려웠으며, 오답원인 자기평가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경우에만 효과가 나타났다. 고 2의 경우, 학습결손이 누적되지 않아야 하고, 자기평가 여건이 형성되지 않으면 효과를 기대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답원인 자기평가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환류의 한 방법으로 학교 현장에 정착되기 위해서는 교과의 특성, 수행 시기, 수행 방법 등에 대한 고민이 선행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effect of the Self-Evaluation fo wrong answers to identify causes of the wrongness (SEWA) which was found with 9th grade Science classes (Kim, 2008, 2009). The SEWA was applied to the 11th grade Mathematics and English classes. Like former study, this study also run the SEWA for several times from March to September 2010. The value-added achievement score differences were tested across the experiment conditions and sexes for each subject matter first. And then the score differences were tested between attitudes within the experiment group. It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 effect was not significant for any of the subject matters. But th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f attitudes towards SEWA was supported the SEWA effect. Such findings supported the claim that SEWA could be helpful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given that they could be motivated for it. Three points were discussed for practice of SEWA in classes. First, the subject matter's characteristics has to be suitable for students' motivation. The subject matter's learning deficit and the relationship with university entrance was major factors for the motivation of SEWA. Second, grade level was also affected the experiment. It was better to start SEWA at the earlier grades. Third, the way to do SEWA also affected. Since SEWA took more time and was not so easy, it would be better to do SEWA with more time with selection of item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훈(Sung-Hoon Kim). (2011).오답원인 자기평가의 외적타당화. 교육평가연구, 24 (2), 209-230

MLA

김성훈(Sung-Hoon Kim). "오답원인 자기평가의 외적타당화." 교육평가연구, 24.2(2011): 209-2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